search
조회 수 218 추천 수 0 댓글 0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2018년 10월과 지난해 6월에 걸쳐 발표한 권고안 및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회원국은 가상자산 사업자에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부과하고 이를 이행을 관리 감독하기 위해 가상자산 사업자 등록제 또는 면허제를 도입해야 한다.

FATF 권고안이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권고안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회원국은 FATF 상호평가에서 부정평가를 받고, 국제 금융 거래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사실상 이행 강제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회원국인 우리나라도 FATF 권고안을 반영한 특금법 개정에 나선 것이다. 개정된 특금법의 주요 내용도 FATF 권고안을 충실히 이행하는 데 맞춰 ▲가상자산과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한 정의 ▲가상자산 사업자의 준수사항 ▲금융사가 가상자산 사업자와 거래할 때 준수해야 할 의무 등을 담았다. 국무회의에서 개정된 특금법이 공포되면, 준비기간을 감안해 1년 뒤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가상자산과 가상자산 사업자 법적인 정의 생겼다...특금법 대상은 시행령서 별도 논의

 

그동안 국내에서 암호화폐, 가상화폐, 가상통화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던 것이 특금법에는 가상자산으로 통일됐다.

가상자산의 정의는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전자적 증표(그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포함한다)를 말한다"고 내렸다. 단, 정의가 다소 포괄적이므로 혼란을 줄이기 위해 교환성이 없는 전자적 증표나 게임 아이템, 전자등록주식, 전자어음, 전자선하증권 등 제외한다는 단서를 붙였다.

가상자산이라는 용어 선택에는 전자지불의 수단으로써 의미는 축소하고, 단지 자산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바라보겠다는 의도가 담겼다. 같은 맥락에서 FATF도 권고안에서 버추얼애셋(Virtual Asset)이란 용어를 채택했다.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한 정의도 처음 내려졌다. '가상자산과 관련한 거래를 영업으로 하는 자'를 가상자산 사업자로 정의하고, 가상자산과 관련해 ▲매도, 매수 행위 ▲다른 가상자산과 교환하는 행위 ▲이전하는 행위▲ 보관 또는 관리하는 행위 ▲매매나 다른 가상자산과 교환을 중개, 알선, 대행하는 행위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가상자산 사업자로 본다고 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지갑 서비스 운영업체, 커스터디 업체, 전문 트레이더 등 사실상 가상자산 산업 모든 사업자에 해당한다.

그렇다고, 모든 가상자산 사업자가 특금법에 명시된 의무를 부과받는 것은 아니다.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사업자는 별도로 정해질 예정이다.

금융위는 앞으로 마련할 시행령에서 자금세탁방지의무 부과대상 ‘가상자산 사업자’의 범위와 법 적용 대상이 되는 ‘가상자산’의 범위를 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한 사실상 '허가제' 도입...신고 기한 2021년 9월 쯤 될듯

특금법에 가상자산 사업자가 신고의무가 명시되면서, 우리나라도 사실상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한 허가제가 도입됐다는 점이 이전과 구분되는 큰 변화다.

특금법에 허가제라는 표현은 없지만,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에만 FIU가 신고를 수리하는 형태이고, 신고를 하지 않고 영업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해 강제력을 갖춘 만큼, 사실상 허가제 도입으로 봐야 한다.

신고 수리 요건 중 핵심은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확보와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 획득이다. 이밖에도 대표자가 범죄경력이 없을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 사업자의 경우 법 시행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고해야 한다. 법 공포 후 1년 뒤 법이 시행될 예정이라, 2021년 9월 전 쯤이 신고 마감기한이 될 전망이다.

내년 9월까지 기존사업자들은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을 확보하고, ISMS를 획득해야 한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현재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업체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4개 업체뿐이다. 고팍스와 한빗코는 ISMS만 획득한 상태다.

현재 은행이 가상자산 사업자에 추가적으로 실명계좌 발급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실명계좌 개시 기준이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금융위는 산업계 목소리를 반영해 '금융회사가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하여 실명확인이 가능한 입출금 계정을 개시하는 기준과 조건 및 절차'를 시행령에서 담을 계획이다.

 

 

 

■가상자산 거래에 자금세탁방지 의무 부과...가상자산 사업자와 은행 모두 해당

개정된 특금법에는 기존 '금융거래' 부과된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금융거래 등'으로 수정해 가상자산에도 적용되도록 했다.

이에 금융거래 등에 포함되는 가상자산 거래 시에도 고객 확인 의무가 부여됐다. 또, 고객의 자산과 사업자의 자산을 분리 보관해야 하는 것은 물론, 의심 거래 발생시 보고 의무를 위해 고객별 거래내역을 분리해 관리하도록 했다.

단, FATF 권고안에서도 논란이 된 트래블룰 이행에 대한 논의는 특금법에서 자세히 다뤄지지 않았다. 트래블룰은 가상자산 사업자가 가상자산을 보내는 사람은 물론 받는 사람까지 파악하고, 정보요청시 제공해야 한다는 규정이다. 사업자가 고객확인을 통해 보내는 사람의 정보는 알 수 있지만, 받는 사람이 누군지는 기술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현실이 반영돼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가상자산 사업자 입장에선 고객확인 의무를 받았지만, 어떻게 준수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다. 이미 실명확인 입출금계좌와 ISMS를 획득해 놓은 대형 업체에게 트래블룰 준수가 가장 난감한 과제로 남았다.

기존 금융회사도 개정된 특금법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 관련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부과받았다. 금융회사가 가상자산 사업자와 거래할 경우, 사업자의 기본사항(대표자, 거래목적 등), 신고의무를 이행 여부, 신고 직권 말소 사항에 해당 여부, 고객 자산 분리해 보관 여부 등을 확인하도록 했다.

또, 사업자가 FIU에 미신고하거나 자금세탁 위험이 특별히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등에는 금융거래를 의무적으로 거절 또는 종료하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가상자산 사업자는 FIU와 금융회사에서 이중으로 신고 의무 및 자금세탁방지 의무 이행을 확인받아야 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7709 바낸 청산가에 - 라고 되어있는건 뭔뜻이에요 ? 케케묵은지 2020.06.01 77 0
17708 10k 뚫으면 강세장 시작된다 1 롱다리 2020.06.01 73 0
17707 선물미련접고 현물해야되나 3 이만기 2020.06.01 87 0
17706 9540롱진입 목표가 2 미누88 2020.06.01 77 0
17705 또 그구간 뚫을까? file KelleyFinance 2020.06.01 141 0
17704 이제 숏보다 롱같은데 1 file ChartChild 2020.06.01 166 0
17703 6월1일 큰 예상시나리오 file timegoesup 2020.06.01 194 0
17702 단기숏 1 file MarkRothko_no1 2020.06.01 126 0
17701 비트코인 중기분석 (5월 월봉마감/6월 월봉생성) file mby_lab 2020.06.01 201 0
17700 고점갱신여부 중요 file Bear_ANT 2020.06.01 123 0
17699 비트코인 대칭 삼각수렴에서 상승 추세를 지속할 조건 file 이힛 2020.06.01 168 0
17698 [롱] 45분봉 단타전략 업데이트 file postonly 2020.06.01 163 0
17697 8870지지 -> 11K 상승가능 file readCrypto 2020.06.01 171 0
17696 재미로 보는 12k 관점입니다. 1 file 필승 2020.06.01 77 0
17695 비트코인 분석 file eggma 2020.06.01 162 0
17694 바낸 아쉬운게 ㅎ 1 file 나만믿자 2020.06.01 88 0
17693 비트선물에서 성공하려면 인간이길 포기하라! 1 소중한연인 2020.06.01 417 0
17692 복리계산기로 본 나의 미래 잔고 1 file 이평선의 귀재 2020.06.01 216 0
17691 이번주의 흐름 예상은 1 고니 2020.06.01 94 0
17690 소액은 무조건 고배때려야 함 1 히드라침뱃기 2020.06.01 124 0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031 Next
/ 1031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D
특정지갑에서 bitstamp로 입금
24-06-28 16:27 $1,050,574
D
특정지갑에서 USDC Treasury로 입금
24-06-28 16:24 $1,092,973
W
OKEx에서 Binance로 출금
24-06-28 16:24 $1,706,378
W
OKEx에서 Binance로 출금
24-06-28 16:24 $1,003,230
D
특정지갑에서 Huobi로 입금
24-06-28 16:23 $1,002,346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8 16:22 $1,280,296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8 16:22 $1,759,758
D
특정지갑에서 BitFlyer로 입금
24-06-28 16:22 $1,720,055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16:22 $3,187,343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16:22 $2,422,874
W
BitFlyer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16:22 $1,243,742
W
Binance에서 Bybit로 출금
24-06-28 16:21 $1,482,419
W
bitstamp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16:15 $2,156,725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28 16:11 $1,378,692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28 16:11 $1,015,166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28 16:06 $1,484,731
W
BitGet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16:03 $1,508,347
D
특정지갑에서 BitFlyer로 입금
24-06-28 15:59 $1,574,165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8 15:59 $2,755,476
D
특정지갑에서 GateIO로 입금
24-06-28 15:59 $1,009,992
W
Binance에서 Bybit로 출금
24-06-28 15:58 $1,399,904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15:49 $4,184,541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15:44 $2,602,420
W
Kucoi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15:44 $1,235,063
W
Kraken에서 Binance로 출금
24-06-28 15:43 $1,202,788
W
Huobi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15:41 $1,233,567
W
BitFlyer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15:31 $2,623,337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8 15:31 $1,939,035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