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3335 추천 수 0 댓글 0

트레이딩 포지션 크기 계산 방법

 

들어가며

 

여러분의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크든지 적절한 위험 관리는 필수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머잖아 계좌의 자금을 잃게 될 수 있으며 상당한 손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몇 주 또는 몇 달간의 성과가 단 한 번의 제대로 관리되지 못한 거래로 무산될 수 있습니다.

 

거래나 투자의 핵심 목표는 감정적인 결정을 피하는 것입니다. 금융 위험이 연루되기 때문에, 감정은 중대한 요소 중 하나일 것입니다. 감정을 통제하여 트레이딩과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해야 할 것입니다. 이것이 투자와 트레이딩에 일련의 규칙을 마련하는 것이 유용한 이유입니다.

 

이러한 규칙을 여러분의 트레이딩 시스템이라 해보겠습니다. 이 시스템의 목적은 위험을 관리하는 것이며, 동시에 불필요한 결정을 내리지 않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여러분의 트레이딩 시스템은 결정의 시간이 다가왔을 때, 성급하고 충동적인 결정을 내리지 않게 할 것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여러분의 투자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위험 관용도는 얼마나 되나요? 얼마나 많은 자금을 투자할 수 있나요? 우리는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하지만 이번 아티클에서는 개별 거래 포지션 크기 계산 방법이라는 한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이를 위해 먼저 거래 계좌의 크기와 한 번의 거래에서 감수할 위험의 정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계좌 크기 결정 방법

 

계좌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단순하고, 불필요한 과정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고려해야 사항 중 하나입니다. 특별히 여러분이 초보자일 경우, 포트폴리오의 일정 부분을 다른 전략에 배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은 다양한 전략을 통한 진행 사항을 보다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많은 위험을 감수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비트코인의 미래 가치를 믿으며, 이를 하드웨어 지갑 장기간 보관한다고 해보겠습니다. 이를 여러분의 거래 자산 일부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을 것입니다.

 

이처럼 계좌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단순히 특정한 트레이딩 전략에 할당할 수 있는 사용 가능한 자본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계좌 위험 결정 방법

 

두 번째 단계는 계좌 위험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여기엔 단일 거래에서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가용 자본의 비율을 결정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2% 규칙

 

전통 금융 세계에는 2% 규칙이라는 투자 전략이 있습니다 해당 규칙에 따르면, 트레이더는 단일 거래에서 계좌의 2% 이상에 해당하는 위험을 감수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이것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살펴볼 것이지만, 그 전에 이를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에 맞게 조절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규칙은 보통 장기 포지션을 취하는 소수의 투자 스타일에 적합한 것입니다. 또한 이는 암호화폐보다 변동성이 적은 상품에 맞춰진 것입니다. 여러분이 보다 활발한 트레이더이며, 특별히 이제 거래를 시작한다면 이보다 보수적인 수치가 안전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를 1% 규칙으로 수정해 보겠습니다.

 

해당 규칙을 따라 여러분은 단일 거래에서 계좌의 1% 이상을 위험에 노출시켜서는 안됩니다. 이는 여러분이 사용 가능한 자금의 1%만 거래한다는 것을 의미할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여러분의 트레이딩 아이디어가 잘못되었고, 스톱 로스가 발동된다면 계좌의 1%만 손해를 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거래 위험 결정 방법

 

이제 우리는 계좌 크기와 계좌 위험을 결정했습니다. 단일 거래를 위한 포지션 크기는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우리의 트레이딩 아이디어가 유효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살펴볼 것입니다.

 

이는 중대한 고려 사항이며 거의 모든 전략에 적용됩니다. 거래와 투자에는 언제나 손실의 위험이 존재할 것입니다. 실제로도 그러하죠. 거래와 투자는 하나의 확률 게임으로, 최고의 트레이더들조차 언제나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사실 일부 트레이더들은 정확할 확률보다 틀릴 확률이 더 높으며, 그럼에도 수익을 내곤 합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요? 이는 모두 적절한 위험 관리와 트레이딩 전략을 보유하고 이를 고수한 덕분입니다.

 

이처럼 모든 트레이딩 아이디어에는 그것이 더는 유효하지 않는 지점이 존재해야 합니다. 우리는 이를 우리의 초기 아이디어가 잘못됐으며,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해당 포지션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고자 합니다. 보다 실제적인 상황에서는 스톱 로스 주문을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당 지점을 결정하는 것은 전적으로 개별적인 거래 전략과 특정한 설정에 기초합니다. 이러한 무효화 지점은 지지 또는 저항 영역과 같은 기술적 변수에 기초할 수 있습니다. 또는 지표나 시장 구조 붕괴 또는 전혀 다른 무언가에 기반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의 스톱 로스를 결정하는 완벽한 단 하나의 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자신의 스타일에 가장 적합한 전략을 스스로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효화 지점을 결정해야 합니다.

 

포지션 크기 계산 방법

 

이제 우리는 포지션 크기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모두 준비했습니다. 계좌에 $5000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단일 거래에서 1% 이상의 위험을 감수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는 단일 거래에서 $50 이상을 잃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시장 분석을 마쳤으며, 우리의 트레이딩 아이디어는 초기 진입 시점에서 5%가 차이가 날 때 무효화 된다고 결정했다고 해보겠습니다. 실제로 시장이 반대로 5% 움직일 때, 우리는 거래를 종료하고 50%의 손실을 감수합니다. 즉, 포지션의 5%는 계좌의 1%여야 합니다.

 

 

- 계좌 크기 – $5000

 

- 계좌 위험 – 1%

 

- 무효화 지점 (스톱 로스 지점) – 5%

 

포지션 크기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포지션 크기 = 계좌 크기 x 계좌 위험 / 무효화 지점

 

포지션 크기 = $5000 x 0.01 / 0.05

 

$1000 = $5000 x 0.01 / 0.05

 

해당 거래의 포지션 크기는 $1000입니다. 이러한 전략을 따라 무효화 지점에서 포지션을 종료하면, 이보다 큰 잠재적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해당 모델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지불 수수료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유동성이 낮은 상품을 거래하는 경우 특별히 잠재적인 슬리피지(slippage)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합니다.

 

계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무효화 지점을 10%로 증가시키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두겠습니다.

 

포지션 크기 = $5000 x 0.01 / 0.1

 

$500 = $5000 x 0.01 / 0.1

 

이제 우리의 스톱 로스는 초기 진입가의 두 배 지점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계좌에서 동일한 금액의 위험을 감수하려 할 경우, 포지션 크기는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마치며

 

포지션 크기를 계산하는 것은 임의의 전략에 기반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계좌 위험을 결정하고, 거래를 시작하기  트레이딩 아이디어가 무효화 되는 지점을 살펴보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실행하는 것도 동일하게 중요한 측면입니다. 포지션 크기와 무효화 지점을 결정한 후에는, 거래 도중 이를 번복해서는 안 됩니다.

 

 


출처 바이낸스 아카데미  https://academy.binance.com/ko/economics/how-to-calculate-position-size-in-trading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이동평균선 - 3편 이평선 단점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1693
55 OBV지수 - 기본편 2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1335
54 이동평균선 - 2편 실전적용(매매기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10760
53 이동평균선 - 1편 기본편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2704
52 이동평균선 Guru의 조언 file 마진왕 2020.02.15 953
51 엘리어트 이론 - 기본편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4 2069
50 수익 사냥을 잘 하는 이유 노마진 2020.02.14 647
49 거래량과 미결제(미청산)약정 규칙의 요약 file 마진왕 2020.02.14 779
48 반감기 그게 도대체 뭐길래?? 반감기 이해하고 시장에 주는 영향까지 빠싹하게 배우고 가자. file Tj 2020.02.13 523
47 기술적분석에서의 기준은 주관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PLUTUS 2020.02.13 700
46 대응을 하지 않는 이유 마진왕 2020.02.13 631
45 CME 갭에 대하여 file 칸트님 2020.02.13 896
44 OBV, VR, 투자심리선, 엔빌로프, 볼린저밴드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1507
43 세개 이상의 캔들차트(샛별형/석별형, 까마귀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3845
42 두 개의 캔들패턴(장악형,먹구름형/관통형,잉태형,반격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3957
41 도지(Doji) 총정리- 도지(Doji)의 모든 것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2363
40 단일캔들분석(우산형,샅바형,십자형,유성형,역전된해머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12626
39 간단하고 무조건 이기는 트레이딩 규칙 file 마진왕 2020.02.12 2159
38 대부분의 투자자가 저지르는 치명적인 실수들! 마진왕 2020.02.12 1075
37 [추세지속패턴]삼각패턴, 직사각형패턴, N자형, L자형패턴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2 2283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