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mage.png

 

#엘리엇파동이론 #기초강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오늘은 제가 오랜 시간동안 자료를 만들지 말지 고민하다가 요즘에 엘리엇 파동 이론을 너무 잘못 이해하고 계시거나 이상하게 사용하시는 분들이 너무 많이 보이길래 앞으로 엘리엇 파동 이론 자료들도 올려드릴 계획입니다.


많은 분들이 엘리엇 파동 이론을 이런식으로 생각하고 계십니다.

“이제 3파 나왔으니깐 이제 4파 조정파가 나오네! 숏 쳐야지~ 혹은 “조정 3파가 나왔으니 이제 1파가 나올 차례야! 롱 쳐야지~”

이런 마인드와 전략으로 트레이딩하시다가 결국에 손해보시고 “엘리엇 파동 안 믿어. 스캠이야.” 혹은 “엘리엇 파동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고 많은 분들이 분노를 표하시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그런데 이거 아세요?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가 사실 맞습니다. 사실 기술적분석의 많은 이론과 방법론들이 다 그런식입니다. 그렇다고 기법들이 활용 가치가 없다는 게 절대 아닙니다. 이왕 비유가 나온 김에 쉽게 빗대어 표현해드리겠습니다.

 

쉽게 설명해드리자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가 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귀에 걸 때 어느 확률로 어떤 조건이 맞아 떨어져야 그나마 귀걸이처럼 되고, 어떤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그나마 귀걸이가 아닌 코걸이가 될 확률이 높아지는지, 가능성들을 모색하는 방법입니다.

특정 기준의 충족 여부에 따라 각 시나리오의 유력성을 통계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매매전략을 설계하는 게 올바른 방법입니다. 어렵죠? 네 원래 생각보다 이 이론은 그렇게 쉬운 기법이 아닙니다.

 

정말 어려운 이유가 또 뭔지 아세요? 평생 본인이 카운팅한 엘리엇 파동 시나리오가 맞는지 틀릴지 알 수가 없습니다. 왜냐면 정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처럼 프렉탈 이론 성질을 치수화 및 정량화 시키는 수많은 방법론 중에 하나인 이 엘리엇 이론을 활용해 시장 성질/성향/특성을 패턴화/통계화한 후 시장 추세와 지지/저항구간을 확률적으로 도출하는 것입니다.

보통 전 차트를 보고 엘리엇 파동 분석을 할 때 Bullish counting(상승관점)과 Bearish counting(하락관점)의 카운팅들을 수없이도 많이 뽑아냅니다. 그리고 가격이 어느 고/저점을 이탈하는지, 특정 추세선/채널/지표 등에 지지/저항이 나오는지 보고 각 시나리오에 확률을 부여하고 그 가격대를 참고해 진입, 익절, 그리고 손절가를 설정하는 겁니다.

 

간단한 예로 충격 1파 이후 조정 2파가 출현 중인데, 우리는 이 충격 1파가 정말로 1파가 맞는지 아닌지 빠른 시일내에 알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조정 2파인줄 알았던 녀석이 1파의 시작점을 회귀한다면, 원래 1파라고 생각했던 놈이 1파일 확률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그 상황에 맞게 손절 대응 전략을 설계하는 것이고, 조정 2파인줄 알았던 녀석이 1파의 고점을 돌파한다면, 3파 출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에 맞는 대응 전략을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일단 오늘은 자료양이 많기 때문에 아래의 대부분 도식화 자료들과 개재된 텍스트들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 준비한 자료는 피보나치 되돌림과 확장 툴로 각 파동들을 타겟팅하는 기법을 준비해봤습니다. 물론 피보나치 툴들 말고도 훨씬 많은 기술적 요소들(전 매물대, 각종 지표, 추세선, 채너 등)을 참고하여 타겟팅, 즉 매수/매도 구간을 찾아야합니다. 파동 카운팅 할때 피보나치 툴은 그냥 하나의 기준으로 참고하시는게 좋습니다.


제가 앞으로 차근차근 관련 자료들 업데이트 해드리겠습니다.
 

snapshot

2파 타겟팅: 1파 시작하는 지점에서 끝나는 지점까지 피보나치 되돌림


0%~38.2%: 30%
38.2%~61.8%: 40%
61.8%~99.9%: 30%
 

snapshot

3파 타겟팅: 1파의 길이를 2파 시작하는 지점에서 피보나치 확장
100%~1618%: 25%
161.8~261.8%: 45%
261.8%~: 30%
 

snapshot

4파 타겟팅: 3파 시작하는 지점에서 끝나는 지점까지 피보나치 되돌림


0%~38.2%: 45%
38.2%~61.8%: 40%
61.8%~: 15%
 

snapshot

5파 타겟팅: 3파의 길이를 4파가 끝나는 지점에서 피보나치 확장


~61.8%: 40%
61.8%~100%: 30%
100%~161.8%: 20%
161.8%~: 10%
 

snapshot

긴 3파일 때 (3파 길이가 (1파 길이 X 161.8%)보다 길 때): 1파의 길이를 4파 끝나는 지점에서 피보나치 확장


0~61.8%: 15%
61.8%~100%: 25%
100%~161.8%: 35%
161.8~: 15%
 

snapshot

짧은 3파일 때 (3파 길이가 (1파 길이 X 161.8%)보다 짧을 때): 1파 시작점에서 3파 끝나는 지점까지의 길이를 4파 끝나는 지점에서 피보나치 확장


0%~61.8%: 50%
61.8%~100%: 35%
100%~: 15%

여러분들의 구독, 댓글, 좋아요는 제게 큰 힘이됩니다:)
성투하세요~

 


Youtube: 토미의 전업투자TV (https://bit.ly/Tommy_TV)
Main Channel: https://bit.ly/Tommy_Main
KakaoTalk Chat Channel:https://bit.ly/Tommy_kakao (PW 1324)
News Channel: https://bit.ly/Tommy_News
VIP Membership: https://forms.gle/hHfQGjHHA2numvHd8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 시장판단과 손익비와 리스크를 구분하는방법. korea_family 2020.12.04 1732
135 비트코인 선물/마진 데이트레이딩 전략의 개요 file 마진왕 2020.04.05 1745
134 비트코인 공매도 시작하기 전에 꼭 알아야할 것 2부! 펀딩과 물타기 (비트맥스/비트코인 하는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3 1755
133 지지선과 저항선은 왜 생기는가?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1806
132 코로나로 인해 태어난 돌연변이 버블. 모두가 버블을 외친다면? file Tommy_Trader 2021.01.12 1809
131 교육 [기초강의] 뚫림의 정도 file Tommy_Trader 2020.09.18 1828
130 이동평균선 - 3편 이평선 단점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1838
129 손익비와 승률의 관계 file Tommy_Trader 2020.06.11 1852
128 비트코인의 차트역사. 잠복단계->인식단계->광기단계->붕괴단계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1 1883
127 MACD - 2편 기초활용기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6 1904
126 (비트코인선물/마진) 자금관리 VS 파산 당신의 선택은? 2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4.19 1916
125 성공적인 비트코인 마진투자의 3가지 요소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5 1921
124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5편 - 시장평균가격이란?(2편) file 고슴도치 2020.03.28 1923
123 성공 트레이딩 기법들 - 기본편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1927
122 차트만 잘본다고 매매를 잘하는게 절대 아닌 이유 1 file Tommy_Trader 2020.09.11 1935
121 비트맥스 - 역지정매매법 - 이것도 모르고 마진합니까?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6 1936
120 본인의 매매성향 파악하기. 매수버튼 누르기 전에 자기 자신을 알라. 2 file Tommy_Trader 2020.10.07 1985
119 기술적 보조지표란 ?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1 1987
118 MACD - 1편 기본개요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6 2017
117 MACD Histogram file 마진판 2021.10.22 203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W
Bithumb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6:10 $1,075,687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6:09 $2,101,735
D
특정지갑에서 Gemini로 입금
24-06-28 06:08 $5,183,896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06:08 $184,302,750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6:08 $1,177,998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6:07 $1,317,849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6:04 $1,399,887
D
특정지갑에서 USDC Treasury로 입금
24-06-28 06:03 $1,070,781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8 05:58 $1,111,564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5:54 $4,271,843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5:53 $3,430,202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5:53 $6,637,560
W
Kraken에서 Binance로 출금
24-06-28 05:52 $1,810,690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8 05:51 $2,189,780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28 05:48 $2,231,245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8 05:48 $2,605,618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8 05:48 $2,466,579
D
특정지갑에서 Gemini로 입금
24-06-28 05:48 $28,236,370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05:46 $7,870,075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05:46 $1,898,160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5:44 $1,405,016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05:44 $4,956,520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5:43 $42,763,070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5:42 $1,410,225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5:42 $1,210,826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28 05:38 $3,007,752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8 05:31 $6,602,366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