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2170 추천 수 1 댓글 0

안녕하세요 마진왕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고 무조건 이기는 트레이딩 규칙인 터틀 트레이딩 규칙을 간단히 정리해 봤습니다.

 

매수(Long) 진입신호

진입 : 직전 20개 바(캔들)의 고점을 돌파하면 매수한다.

최초손절매 : 변동성 고정 자금 관리 손절매

            리스크는 투자자산의 2%로 제한한다.

            변동성은 20일 ATR로 정의한다.

청산: 직전 10개 바의 저점으 돌파하면 청산한다.

 

매도(Short) 진입신호

진입 : 직전 20개 바의 저점을 돌파하면 매도한다.

최초 손절매 : 변동성 고정 자금 관리 손절매

              리스크는 투자자산의 2%로 제한한다.

              변동성은 20일 ATR로 정의한다.

청산 : 직전 10개 바의 고점을 돌파하면 환매한다.

 

^^변동성 고정자금 관리란?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계약수 = (고정된리스크비율X계좌자산)/시장의 변동성

*고정된 리스크비율은 계좌자산중 투자자가 제한하기를 원하는 손실비율

 

^^ ATR(Average True Range)


 

ATR은 시간에 따른 변동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이런 변동성 측정을 위해서는 TR에 대해서 먼저 알 필요가 있다.

TR(True Range)는 J.Wells Wilder가 소개한 지표로 (당일고가 - 당일저가), (전일종가 - 당일저가), (당일고가 - 전일종가) 중에 최대값을 취해 차트로 표시한다. 

이러한 TR의 기간에 대한 이동평균으로 나타낸 지표가 바로 ATR이다.
TR

Max(Max(H-C(1),C(1)-L),H-L)

(당일고가 - 전일종가) , (전일종가 - 당일저가) , (당일고가 - 당일저가) 중에 최대값 ,키움은 TR로 수식이 존재한다.

ATR

avg(max(max(h-l,abs(c(1)-h)),abs(c(1)-l)),Period)

TR의 값을 기간(period)로 이동평균한 값.

 

 

참 간단하고 쉽죠 ^^

이렇게 간단하고 쉬운게 왜 잘 안될까요 ㅎㅎ

간단하고 무조건 이기는 트레이딩 규칙

 

오늘은 간단하고 무조건 이기는 트레이딩 규칙인 터틀 트레이딩 규칙을 간단히 정리해 봤습니다.

 

매수(Long) 진입신호

진입 : 직전 20개 바(캔들)의 고점을 돌파하면 매수한다.

최초손절매 : 변동성 고정 자금 관리 손절매

            리스크는 투자자산의 2%로 제한한다.

            변동성은 20일 ATR로 정의한다.

청산: 직전 10개 바의 저점으 돌파하면 청산한다.

 

매도(Short) 진입신호

진입 : 직전 20개 바의 저점을 돌파하면 매도한다.

최초 손절매 : 변동성 고정 자금 관리 손절매

              리스크는 투자자산의 2%로 제한한다.

              변동성은 20일 ATR로 정의한다.

청산 : 직전 10개 바의 고점을 돌파하면 환매한다.

 

^^변동성 고정자금 관리란?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계약수 = (고정된리스크비율X계좌자산)/시장의 변동성

*고정된 리스크비율은 계좌자산중 투자자가 제한하기를 원하는 손실비율

 

image.png

 

 

^^ ATR(Average True Range)


 

ATR은 시간에 따른 변동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이런 변동성 측정을 위해서는 TR에 대해서 먼저 알 필요가 있다.

TR(True Range)는 J.Wells Wilder가 소개한 지표로 (당일고가 - 당일저가), (전일종가 - 당일저가), (당일고가 - 전일종가) 중에 최대값을 취해 차트로 표시한다. 

이러한 TR의 기간에 대한 이동평균으로 나타낸 지표가 바로 ATR이다.
TR

Max(Max(H-C(1),C(1)-L),H-L)

(당일고가 - 전일종가) , (전일종가 - 당일저가) , (당일고가 - 당일저가) 중에 최대값 ,키움은 TR로 수식이 존재한다.

ATR

avg(max(max(h-l,abs(c(1)-h)),abs(c(1)-l)),Period)

TR의 값을 기간(period)로 이동평균한 값.

 

 

참 간단하고 쉽죠 ^^

이렇게 간단하고 쉬운게 왜 잘 안될까요 ㅎㅎ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 기술적 분석(TA)에서 발생하는 7가지 흔한 실수들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19 2638
115 기술적 보조지표란 ?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1 1895
114 그림으로 보는 모든 비트코인 캔들패턴 1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3.08 15397
113 귀걸이인지 코걸인지 확률적으로 판단하는게 원래 엘리엇파동이론이에요~^^ file Tommy_Trader 2021.02.08 6555
112 교육 추세선 이탈 활용 전략 / Trendline Trading Setup file Tommy_Trader 2020.07.10 1419
111 교육 [기초강의] 뚫림의 정도 file Tommy_Trader 2020.09.18 1741
110 공격적인 추세반전 트레이딩 file 이상한 마진 트레이더 2020.03.21 1265
109 고슴도치의 비트코인 마진거래 18편 - 리듀스온리(Reduce Only)란? 고슴도치 2020.04.25 4693
108 고슴도치의 비트코인 마진거래 17편 - 포스트온리(Post-Only)란? 고슴도치 2020.04.22 1561
107 고슴도치의 비트코인 마진거래 16편 - 전체거래주문(FOK) 이란? 1 고슴도치 2020.04.21 2073
106 고슴도치의 비트코인 마진거래 15편 - 비트코인 마진거래의 장점과 리스크 ! 고슴도치 2020.04.19 1218
105 고슴도치의 비트코인 마진거래 14편 - 일부거래주문(IOC) 이란? 고슴도치 2020.04.19 1056
104 고슴도치의 비트코인 마진 거래 13편 : - 가격지정주문(GTC)란? 1 고슴도치 2020.04.18 1227
103 고슴도치의 블록체인 핫이슈 2 - 비트코인 반감기란 무엇일까 ? 고슴도치 2020.05.02 1339
102 고슴도치의 블록체인 핫이슈 1 - 바이비트의 비트코인 인코딩 이벤트! file 고슴도치 2020.03.27 975
101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9편 - 유지증거금 고슴도치 2020.04.04 1437
100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8편 - 개시증거금 1 file 고슴도치 2020.04.03 1019
99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7편 - 교차마진과 격리마진 1 file 고슴도치 2020.03.29 2786
98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6편 - 시장평균가격이란?(3편) file 고슴도치 2020.03.29 3057
97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5편 - 시장평균가격이란?(2편) file 고슴도치 2020.03.28 17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