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CV( Chaikin's Volatility )

 

시장의 정점 부근에서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쉽게 흥분하기 마련이다.
이 결과 변동성(Volatility)이 커지게 되어 장중 등락이 확대된다.


반면,바닥권 부근에서는 조정에 지친 심리가 반영되어 변동성은 급격히 감소하는 특징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변동성을 이용한 지표가 「Chaikin's Volatility」이다. Mark Chaikin은 주가의 고가와 저가와의 차이 즉, 등락범위를 이용하여 이 지표를 제시하였다.

 

Chaikin's Volatility는 시장의 에너지 혹은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변동성(Volatility)을 기준으로 한 지표이므로 시장상황을 파악하기에는 유효하나 매매시점 포착에는 단점이 있으므로 보완지표와의 비교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1. CV 특징
 

- 시장의 에너지 또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변동성을 기준으로 한 지표이다
- 시장상황을 파악할 수는 있으나 매매시점을 포착하기는 어렵다


2. CV 계산방법
 

- (고가 - 저가)의 n일의 이동평균 계산하여 이를 k 라 한다 < 이동평균 일반적으로 10일 사용 >
- ( (금일의 k 값 - n일전의 k 값) / n일전의 k 값 ) × 100 < n일은 통산 10일 사용 >

 

3. 분석방법
 

 

분석방법 1.

Chaikin's Volatility는 장중 등락 흔히 말하는 일교차를 나타내는 지표이 다. 이 지표의 기본 컨셉이 가격의 정점에서는 변동성이 증가하고, 저점에서는 변동성이 감소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지표의 해석기법 자체도 이에준용하여 적용된다. 즉

— 주가의 정점에서 Chaikin's Volatility는 지표값이 증가한다.

— 반면, 주가의 저점에서는 Chaikin's Volatility의 지표값은 감소한다


분석방법 2.

분석방법1 의 방법은 가격을 선행하지도 않고  가격차트 자체를 분석하는 것이 비해 별다른 유용성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Chaikin's Volatility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격과 지표의 움직임이 괴리를 보이고 있는 포인트에 주목하여야 한다. Divergence가 그 한 예가 될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격이 하락하면서 일시적으로 Chaikin's Volatility값이 급상승하는 등 변화가 있을 경우에도 가격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특히 일봉이나 주봉에서 가격이 하락하는 과정 중 Chaikin's Volatility가 급상승하는 경우는 곧 가격이 반등권에 진입할 것임을 암시하므로 주의 깊게 보아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만을 기준으로 가격을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결국 가장 이용하기 쉬우면서 신뢰도가 높은 기법은 일봉 또는 주봉 기준 Divergnve를 이용하는 방법 정도이다.


4. 투자활용기법

— Chaikin's Volatility의 이용기법 중 "0" Line이용 기법도 활용된다.

 

즉, Chaikin's Volatility가 "0"Line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반대의 경우는 매도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의 신뢰도는 떨어지므로 권할기법은 아니다.

— Chaikin's Volatility를 활용한 매매 기법은 Oscillator형 지표들에 비해서 매우 난이한 편이다.

 

따라서 적극적 활용은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 일봉 또는 주봉 이상의 기간 값을 가지고 있는 Data챠트에서 Divergence의 이용은 다른 지표와의 비교를 통해서 활용 시 유의성이 높으므로 다른 지표와의 병행 사용이 유리하다.

 

 

image.png

 

5. 요약

 

- CV는 장중등락 즉 일교차를 나타내는 지표


- 가격의 정점에서는 CV값 증가, 가격의 저점에서는 CV값 감소


- 가격에 선행하지 않기 때문에 divergence 활용이 효과적


- " 0 " 선 이용기법 : CV 0선 상향돌파시 매수, 하향돌파시 매도 , 신뢰도는 높지 않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기술적분석에서의 기준은 주관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PLUTUS 2020.02.13 697
215 [꿀팁]손절을 못해 물리는 사람들에게 필독 영상 / 손절매는 관리이지 손실이 아니다.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3 703
214 되돌림(조정)과 확장에 관한 기본 timegoesup 2020.03.15 707
213 1편 [비트맥스 하락장에서 수익내기]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710
212 [기초교육강의] 박스이론① file timegoesup 2020.03.08 746
211 [꿀팁]당신의 멘탈을 지켜주는 매매법!! 하이킨아시매매 추세의 지속을 확인하다!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3 750
210 5편 [비트맥스 청산은 언제 어떻게 하는가?] ​​​​​​​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1 754
209 거래량과 미결제(미청산)약정 규칙의 요약 file 마진왕 2020.02.14 775
208 비트맥스 초심자들을 위한 비트맥스세팅 방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3 782
207 이것만 알면 비트코인 공매도 나도 할 수 있다! (비트코인 하는법/비트맥스 사용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3.07 809
206 #02 채널(Channel)의 이해와 수정 변경 1편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7 825
205 #03 채널(channel) 의 이해와 기술분석의 본질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7 859
204 연도별 비트코인의 가치 file 노마진 2020.03.06 872
203 #04 기술 분석에서 중심, 절반, 50%, 평균, 균형에 대한 생각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7 876
202 #01 추세선의 진행과 추세전환 과정 살펴 보기/추세 이탈과 새로운 저점의 형성이 의미하는 것은?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7 882
201 CME 갭에 대하여 file 칸트님 2020.02.13 893
200 #05 수요&공급(Demand&Supply) 가격움직임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7 908
199 비트코인 마진거래 처음이라면? 용어부터 정리하자!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7 909
198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2편 - 보험기금 고슴도치 2020.03.24 934
197 고슴도치의 블록체인 핫이슈 1 - 바이비트의 비트코인 인코딩 이벤트! file 고슴도치 2020.03.27 9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8:24 $58,999,824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5-31 18:24 $58,999,880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5-31 18:24 $1,014,303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8:24 $2,028,623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8:24 $3,042,933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8:24 $15,552,805
D
특정지갑에서 Luno로 입금
24-05-31 18:24 $63,778,776
W
Binance에서 OKEx로 출금
24-05-31 18:15 $1,000,355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5-31 18:13 $2,987,871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5-31 18:09 $13,874,685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8:09 $1,509,447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8:04 $4,992,916
D
특정지갑에서 GateIO로 입금
24-05-31 18:02 $1,000,145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8:02 $4,026,851
W
OKEx에서 Binance로 출금
24-05-31 18:01 $2,985,714
D
특정지갑에서 OKEx로 입금
24-05-31 18:01 $1,047,050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7:58 $1,000,951
W
USDC Treasury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7:57 $8,008,471
D
특정지갑에서 USDC Treasury로 입금
24-05-31 17:57 $8,008,471
W
Bybit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7:54 $1,165,452
D
특정지갑에서 MEXC로 입금
24-05-31 17:52 $2,996,437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7:49 $1,315,157
W
Bybit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7:47 $1,075,279
D
특정지갑에서 USDC Treasury로 입금
24-05-31 17:44 $6,220,243
W
Kraken에서 Binance로 출금
24-05-31 17:43 $2,782,104
W
Kraken에서 OKEx로 출금
24-05-31 17:41 $1,973,878
W
Huobi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7:39 $1,000,722
W
Huobi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7:39 $1,000,721
W
Huobi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17:38 $1,000,721
D
특정지갑에서 Huobi로 입금
24-05-31 17:37 $7,933,807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