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1894 추천 수 2 댓글 0

image.png

 

안녕하세요. 토미입니다.
오늘은 엘리엇 파동 Flat Correction에 대한 자료를 준비해봤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엘리엇 파동의 한 단위 및 사이클은 보편적으로 5-3-5-3-5 지그재그 구조의 충격파동(Impulsive Wave)과 5-3-5 지그재그 구조의 조정파동(Corrective Wave)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H(Higher High)와 HL(Higher Low)가 충격파 내에서 연이어 나오다가 이후 LH(Lower High)와 LL(Lower Low)가 조정파동 내에서 나오게 되는 게 통상적이죠.

snapshot


하지만 요즘처럼 툭하면 휩소 무빙, 불/베어 트랩, 스탑헌팅 현상이 난무하고 세력들이 정말 별의별 창의적인 방법으로 개미들을 속이려는 장에는 간혹 B파가 5파를 회귀할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B파의 고점이 5파의 고점보다 높게 형성이 되는 파동구조를 Flat Correction (플랫 조정)이라고 합니다. 즉 5파 이후에 B파의 HH가 한번 더 나오는 패턴입니다. 반대로 하락 관점으로는 B파가 5파보다 더 낮게 내려가는 상황이겠죠.

snapshot


본 조정 구조는 보통 4파에 자주 나오며 이 외에 몇 가지의 세부규칙들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5-3-5 지그재그 구조인 일반 ABC 조정과 다르게 플랫 조정은 3-3-5 지그재그 구조를 갖습니다. 때문에 소파동 구조가 두개의 ABC와 한 개한 12345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면 플랫 조정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B파가 터무니없이 길면 안되겠죠? 때문에 A파의 1.272 확장 레벨을 돌파해버린다면 그 파동은 플랫 B파가 될 수가 없습니다. 이럴 때는 새로운 충격파로 고려를 하던 아직 큰 단위의 파동 사이클이 안 끝났다고 고려를 하던 다른 파동 카운팅 및 시나리오를 적용시켜야 합니다.

snapshot


Flat Correction은 C파의 길이에 따라서 Regular, Expanded, 그리고 Running 구조로 나뉩니다. Extended 파동 출현으로 C파가 5파의 저점을 이탈해 와이드닝 패턴과 비슷하게 흘러가는 파동구조를 Expanded Flat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Truncated 파동 출현으로 C파가 5파의 저점을 깨지 않는 구조는 Running Flat이라고 합니다. Regular Flat은 5파와 B파 고점이 비슷한 레벨에서 형성되며 B파의 시작점과 C파의 끝점 역시 비슷한 레벨에서 형이 되는 조정 구조이며 보통 박스권 횡보 채널이 나올 때 해당 조정구조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snapshot


원래 정통 엘리엇 파동 이론 학문에서는 B파를 A파의 1.382 확장 레벨까지 허용을 해줍니다만 개인적으로 1.13 혹은 1.272 확장 레벨이 적당한 허용 범위라고 봅니다. 또한 Running Flat 조정에서는 C파가 B파의 0.618 되돌림 이상은 회귀를 해주어야 합니다. 파면 팔수록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같죠? 항상 말씀드리지만 엘리엇 이론은 다차원적인 관점으로, 즉 여러가지 다양한 시나리오 및 카운팅들을 고려해야 하며 특정 기술적 요소의 충족 여부와 여러 시나리오들의 Confluence Signals 들을 통해 특정 추세와 Price Action들을 도출하셔야 합니다. 일차원적 마인드로 한가지 시나리오만 고집하면 결국 깡통차는 건 시간 문제입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그리고 댓글은 저를 행복하게 합니다.


Youtube: https://bit.ly/Tommy_TV
Telegram[KR]: https://bit.ly/Tommy_Main
Telegram[EN]: https://t.me/tommy_trading_eng
KakaoTalk: https://bit.ly/Tommy_kakao (PW:1324)

Free VIP: https://t.me/zen_tb
BYBIT Free 15% Discount: https://bit.ly/3ITFSu0

Youtube

Instagram

Website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 기술적분석에서의 기준은 주관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file PLUTUS_GD 2020.04.13 1595
115 기술적분석에서의 기준은 주관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PLUTUS 2020.02.13 697
114 김치 프리미엄 단순 매매전략 file kimchulho 2020.03.15 582
113 내 평단가가 항상 저항선인 이유 [SR FLIP에 대한 모든 것] file Tommy_Trader 2021.02.19 2793
112 단일캔들분석(우산형,샅바형,십자형,유성형,역전된해머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12617
111 당신이 '반드시' 알아야 할 암호화폐 전용 일목구름 세팅 전문가투자교육 2020.02.26 3236
110 당신이 '반드시' 알아야 할 암호화폐 전용 일목구름 세팅 file Researcher-Jake 2020.03.15 1425
109 대부분의 투자자가 저지르는 치명적인 실수들! 마진왕 2020.02.12 1072
108 대응을 하지 않는 이유 마진왕 2020.02.13 628
107 도지(Doji) 총정리- 도지(Doji)의 모든 것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2358
106 도치의 비트코인 차트 3편 : 슈퍼트렌드(Supertrend) 지표 셋팅 고슴도치 2020.04.28 5031
105 되돌림(조정)과 확장에 관한 기본 timegoesup 2020.03.15 709
104 두 개의 캔들패턴(장악형,먹구름형/관통형,잉태형,반격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3947
103 로그 차트 추세선을 일반 차트에 작도하는 개꿀팁 알려드립니다 file Tommy_Trader 2021.01.31 3088
102 마진 시장의 거래량의 대한 해석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5 1227
101 마진/선물 트레이딩을 잘하려면?? 1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3.21 2269
100 마진거래 파산위험 피하는 방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2788
99 마진은 심리다 노마진 2020.02.16 657
98 마진투자 자금관리 방법 -켈리방정식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4271
97 마진트레이딩 할수 있는 자질 체크 5 file 마진왕 2020.04.01 236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