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출처 https://coincode.kr/archives/36218

 

시세라고 하는 것은 1년간 크게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트렌드 시세」가 30%, (상하 어느 쪽도 아닌 상태로 추이)「레인지 시세」가 70%라고 한다. 레인지 시세 쪽이 기본적으로 더 오랜 기간 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30%의 트렌드 시세를 파악하거나 트렌드가 언제 끝나는가? 라고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코인포스트는 22일 판별 방법의 몇 가지 예를 소개한다. 간단한 재료만 설명하고자 하니 일례로만 참고하면 좋겠다.

 

[지지선, 저항선 체크]

 

첫 번째는 지지선(하한가 지지선), 저항선(상한가 저항선) 체크다. 기술 분석에서도 기본 중의 기본이기 때문에 반드시 이해할 필요가 있다.

 

BTC / USD 4 시간간 차트

위는 BTC/USD의 4시간 차트다. 빨간 수평선이 중요한 저항선이었던 수준이다.

 

차트는 전형적인 상승 트렌드였는데, 이 12,000 달러 라인에서 상한가가 억제되고 있어 많은 마켓 시장 참가자들은 “이곳을 넘어설 수 있으면 상승 트렌드가 더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후 저항선을 넘어 급등했지만, 결국 저항선 라인이 깨지는 수준까지 내려가고 있어 이렇게 중요한 고비를 넘긴 후 다시 전부 가격이 돌아온 경우 트렌드가 종료된 것은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

 

[포지션 기울기가 나타내는 것]

 

“투자자의 보유 포지션이 매입인가 매도인가에 크게 기울어져 있는 것”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포지션의 기울기는 암호화폐에서는 ‘펀딩 레이트(Funding Rate)’라는 것으로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BitMEX의 펀딩레이트

펀딩 레이트는 포지션 보유 비용을 의미하며, 포지션을 계속 보유하는 한 드는 비용이다.

 

따라서 공개된 펀딩 레이트가 플러스인 경우에는 롱(long) 포지션을 보유한 사람이 숏(short) 포지션을 보유한 사람에 대한 지불이 발생하며, 반대로 펀딩 레이트가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숏 포지션을 보유한 사람이 롱 포지션을 보유한 사람에 대한 지불이 발생한다.

 

이 펀딩 레이트의 숫자는 포지션이 기울어질수록 커지기 때문에 레이트 사이즈에서 포지션의 기울기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포지션이 어느 한쪽으로 크게 기울어져 있다는 것은 어딘가에서 그 편중된 포지션을 해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트렌드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라는 예측을 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큰 폭으로 펀딩 레이트가 플러스일 때는 롱 포지션으로 마켓이 기울어져 있고, 큰 폭으로 마이너스일 때는 쇼트 포지션으로 크게 기울어져 있다는 것이다. 그 때는 기울어진 방향에 대한 잠재적인 압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할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 상승 트렌드라면 하락 트렌드로, 하락 트렌드라면 상승 트렌드로 변화할 수 있다.

 

[거래량을 통해 신호를 감지]

 

트랜드의 변화의 견해로서 「거래량 급증」이 있다.

 

BTC / USD 거래량

위의 차트는 앞의 차트안의 거래량에 O표시를 한 것이다. 처음 ○표시 위치에서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다음의 ○표시는 가격급등 과정에서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처음 하락했을 때에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팔고 싶은 사람이 당황해서 투매를 실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타이밍에 일단 팔고 싶은 사람이 다 팔고 있고, 판매 압력이 감소한 것으로부터, 거기로부터 반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한편, 급등의 타이밍에 거래량이 수반되고 있는 것은, 사고 싶은 사람이 계속 매수한 결과 이러한 움직임이 되고 있으므로, 매수 압력은 그 후 감소할 것이 예상된다. 그 후 차트는 거래량이 나타내 보인 대로 하락 기조가 되고 있어 「상승 트랜드가 일단 끝났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하는 힌트가 된다.

 

 

「트렌드 전환」을 판별하는 방법은 그 밖에도 다수 있지만, 알기 쉬운 포인트만 설명했다. 기술적 분석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우선 이 세 가지를 배우고 나서 차트를 보시면 시세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3 [코인시황] 비트코인 M자형 '더블 톱' 우려 줄어 마진판 2021.03.17 149
1072 [코인시황] 비트코인 5만8천달러 돌파…그러나 투자자 관심은 여전히 알트코인 마진판 2021.05.08 85
1071 [코인시황] 비트코인 13% 급등…중국 제재 개의치 않는듯 file 마진판 2021.06.10 149
1070 [코인시황] 미국·중국발 규제 우려로 비트코인 다시 하락세 file 마진판 2021.08.04 193
1069 [코인시황] 미국 예산안 발표로 비트코인 급락…주말에는 하락세 이어질 듯 file 마진판 2021.05.29 106
1068 [코인시황] 머스크 또 입방정…비트코인 급락 file 마진판 2021.06.05 59
1067 [코인시황] 각종 호재 속 비트코인 3만7천달러선 유지 file 마진판 2021.06.12 155
1066 [코인시황] 각국 규제 강화에 비트코인 하락세 file 마진판 2021.07.09 143
1065 [코인시황] “이더 잠재력은 상당해”…비트코인, 이더 반짝 상승 file 마진판 2021.05.27 143
1064 [코인시황] "비트코인 5만달러 무너지면 매도세 몰려" 마진판 2021.04.20 185
1063 [코인 투자 분석] 온체인에서 강력한 비트코인 상승 조짐이 보인다 file 마진판 2021.11.26 197
1062 [코인 투자 분석] 비트코인 채굴자 보유 물량 꾸준히 증가 file 마진판 2021.08.30 138
1061 [코인 상장 이대로는 안된다] 투자자·프로젝트 모두 피해…원칙이 없다 file 마진판 2022.09.06 247
1060 [코인 빅데이터] 긴축 공포에 약세장 지속...비트코인(BTC) vs 이더리움(ETH) 트렌드 file 마진판 2022.10.21 1580
1059 [코인 과세] 2021년 10월부터 22% 세금 낸다.. 절세는?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23 392
1058 [컨센서스 2021] 디파이 규제는 어떻게 해야 할까? file 마진판 2021.06.02 103
1057 [칼럼]이번 코인 폭락장에서 우리가 배울 점 file 마진판 2021.06.03 112
1056 [주간전망] 트위터 해킹이 비트코인 가격에 미치는 ±효과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18 81
1055 [주간전망] 정체 국면은 끝나가는데... BTC 위로? 아래로?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6.20 68
1054 [주간전망] 은행 코인 수탁서비스 허용, 대형 호재될까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25 91
Board Pagination Prev 1 ...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D
특정지갑에서 Huobi로 입금
24-05-31 08:10 $1,008,382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08:09 $3,963,278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07:55 $2,186,111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07:54 $1,003,205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5-31 07:46 $2,972,570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5-31 07:39 $2,225,991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5-31 07:31 $1,050,487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