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출처 https://coincode.kr/archives/71461

image.png

 

 

시가총액 상위 암호화폐인 솔라나(SOL)의 메인넷(베타)가 한국 시간 1일 오전 6시 반경부터 일시 가동 중단 상태에 빠졌었다. 이에 대해 코인포스트가 2일 보도.

약 7시간 후 발리데이터 커뮤니티에 의한 클러스터의 재기동에 성공. dApps(분산형 앱) 등 서포트 시스템의 복구 작업이 계속 되고 있는 것 같다.
https://twitter.com/SolanaStatus/status/1520637332990623745?s=20&t=DLtJuWMq2_5sPsMJFBxUzQ

문제 발생 당초, 솔라나 재단이 운영하는 트위터 계정은 100 gbps(매초 400만)를 넘는 방대한 양의 트랜잭션이 네트워크에 쇄도한 결과, 발리데이터에 의한 컨센서스를 얻을 수 없게 되었다고 보고. 발리데이터 운영자에 대해 디스코드 상의 지시에 따라 재기동에 대비하도록 호소하고 있었다.

솔라나 기반의 NFT 「Okay Bears」의 인기화와 플로어 프라이스 상승에 수반해 NFT를 민팅하기 위한 bot 활동이 활성화한 영향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SOL 기반으로 인기를 끄는 피트니스 앱 스테픈(GMT)에서도 SOL과 GMT의 송금 기능이 잠시 정지되는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https://twitter.com/MagicEden/status/1520100406142988288?s=20&t=gA59itjjZfBEpndgmDRniQ

 

솔라나 랩(Solana Labs)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Austin Federa는 이번 네트워크가 정지했다고 하는 것보다 「과부하에 의한 충돌이었다」라고 하는 것이 정확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이용자 자금은 안전하다고 트윗하고 있다.
 

Solana Labs의 공동 설립자인 Anatoly Yakovenko는 네트워크 복구를 위해서 협력, 신속히 행동한 발리데이터 커뮤니티는 「전설적이다」라고 칭찬하는 트윗을 게시하고 있다.
https://twitter.com/aeyakovenko/status/1520621411353567232?s=20&t=ic-cwRFcb2U1u4ziEoTmcQ

[거듭되는 네트워크 정지]

솔라나의 네트워크는 작년 9월에도 약 18시간에 걸치는 가동 정지에 휩쓸렸다. 과도한 트랜잭션 양이 원인이라고 솔라나는 설명. 24시간 이내에 발리데이터 커뮤니티에 의해서 업그레이드가 실행되어 메인넷은 정상적으로 재기동되었다.

솔라나의 사후 분석에 따르면 네트워크 정지의 원인은 자동화 프로그램인 봇(bot)의 대량 트랜잭션 생성에 따른 실질적인 디도스 공격(DDos.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알려졌다.



그 후 금년 1월에도 대량의 트랜잭션에 의해서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 봇에 의한 영향이 지적되었다. 솔라나 블록체인은 멤풀을 가지지 않고 수수료가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봇 운용자는 이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시급한 봇 대책]

솔라나상의 NFT 생성을 서포트하는 「Metaplex」는 동사의 「Candy Machine」에 있어서의 봇의 운용이 이번 일어난 장애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https://twitter.com/metaplex/status/1520608064155521024?s=20&t=d2uf8qc9axnYYxD4D10kWg
Metaplex는 봇을 이용한 음해성 민팅(NFT 생성)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과도한 부하를 가져오는 악질적인 행위에 대해 “패널티” 도입을 발표했다.무효 트랜잭션을 완료하려는 지갑에 대해 0.01 SOL 페널티를 부과하도록 프로그램을 변경하겠다는 것.

이번 네트워크 재개의 준비 단계에서 Candy Machine의 트랜잭션을 일시적으로 블록하는 코드를 실장할지에 대해 발리데이터 커뮤니티의 질문을 받았지만, 많은 발리데이터의 찬동은 얻을 수 없었다. 변경이 유효해지기 위해서는 발리데이터의 3분의 2의 합의가 필요하지만, web 3.0의 사상과 반하는 “검열행위”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는 등의 이유로 선택이 보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3 [AI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 5일 "비트코인,9800달러 저항선 안착할까?"...알트코인 보합 수준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6.05 115
732 [2020년 2월1일 마진판 시황]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3 234
731 [17일 알트코인 동향]이더리움·리플 등 일제 약세…모네로·파일코인 급락, 스텔라·유니스왑 선전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0.17 108
730 YFI 토큰은 비트코인 가격을 능가한다 .. 현재 34,016 달러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30 157
729 YFI 창업자의 자신감, 일론 머스크에게 "연락달라" file 마진판 2021.05.18 108
728 YFI 상승 랠리.. 비트코인 가격 추월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21 324
727 YFI 보유자 중 26%만 현재 수익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22 113
726 XRP, 나홀로 상승랠리 언제까지...시장, 리플 승소에 베팅? file 마진판 2022.09.26 154
725 XRP, 0.60달러 저항 넘었다…리플 CEO "美 시장 포기할 수도" 마진판 2021.04.03 99
724 XRP, 0.5달러 심리적 지지선 방어 '주목'...리플-SEC 소송 진행상황은? file 마진판 2022.01.25 176
723 XRP 여전히 저평가..."리플-SEC 소송 승리하면 최소 50% 랠리" file 마진판 2022.10.04 174
722 XRP 레저(XRPL), AMM 기능 도입 검토 file 마진판 2022.07.05 312
721 XRP 급락.. 미 SEC 소송 방침에 리플 CEO 반발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2.23 101
720 XRP 급등 후 급락, 조직적인 펌프 한계 드러내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02 148
719 XRP 가격, 모멘텀 부족에 가파른 조정세...리플 관계자, 연일 '美SEC 때리기' file 마진판 2022.08.03 191
718 XRP 4분기 강세장 유효하나...리플, EVM 호환 XRPL 사이드체인 테스트 시작 file 마진판 2022.10.18 179
717 XRP 0.70달러 돌파 실패, 향후 전망은?…美 변호사 "제드 맥칼렙, 리플이 SEC 소송 이기길 기도" file 마진판 2021.07.27 199
716 XRP 0.50달러선 급락 가능성↑...리플 CEO "SEC와의 소송, 비즈니스 영향 無" file 마진판 2022.04.29 166
715 WSJ "트위터, 머스크의 53조원 인수제안 재검토" file 마진판 2022.04.25 135
714 WSJ "비트코인은 구매하지 않더라도 외면해선 안된다"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22 119
Board Pagination Prev 1 ...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D
특정지갑에서 Bitfinex로 입금
24-06-23 16:27 $3,792,329
W
Kraken에서 Binance로 출금
24-06-23 16:25 $1,406,938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3 16:15 $1,441,184
W
Bitfin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3 16:13 $1,555,241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3 16:06 $3,790,992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23 15:59 $3,601,284
D
특정지갑에서 Bitfinex로 입금
24-06-23 15:55 $2,772,672
D
특정지갑에서 OKEx로 입금
24-06-23 15:51 $1,061,220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