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3458 추천 수 0 댓글 0

안녕하십니까 선생님들. 쪼금늦었네용

 

1. 이평선이란?

 

이동평균선을 뜻하는데, 가격의 움직임을 평균적으로 계산해서 선으로 이은 지표입니다.

이동평균선 종류가 참 많죠. MA, EMA 등등.. 저는 비트와 해선에서는 무조건 EMA를 봅니다. 

그 이유는 시장의 속도와 관련돼있는데요, 주식같이 느린놈들은 MA를 쓰고, 빠른놈들은 EMA를 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EMA가 반응이 빨라서 눈치까기 좋기 때문입니다.

 

2. 꿀팁들

 

 

image.png

 

 

보시면 이평선이 빨주노초파흰 으로 설정돼있습니다.  각각 10 20 33 60 120 260 입니다.

 

이평선값 설정하는거 사람들마다 참 다르고 천차만별인데, 제가보는 선들 설명드리겠습니다

 

10일선: 단타용, 단기지지 확인용

20일선: 일봉추세 확인용

33일선: 일봉추세 확인용 및 알트 추세 확인용

60일선: 중간에 휑하면 이상해서 넣음

120일선: 장기추세 확인용

 

260일선

제가 이평선 지지저항중 제일 의미있다고 보는 선이 260일선 입니다. 해선에서 씹고수들만 쓰고, 아무도 이유를 정확히 알려주지 않는 선입니다. 제가 이유를 알려드릴게요. 

 

해외선물장은 미국기준입니다. 1년은 365일이고, 시장은 주말과 공휴일에 쉽니다. 따라서 미국기준 365-주말-공휴일=260 이라는 값이 대략적으로 나오는데, 이 수치가 정확히 1년짜리 이평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260일선은 굉장히 강한 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이건 경험에서 나온 꿀팁이니 잘들써먹으십쇼.

 

3. 비트와 이평선

 

그럼 위의 말한 이평선들을 비트에 어떻게 적용하는가?

 

저는 이평선을 비트매매할때 지지저항으로 쓰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비트가 이평선을 살짝 찢고 반등하는 그림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예쁜 지지가 잘 안나옴) 정말 많이 써봐야 10일선 260일선 지지저항 보는정도???(1시간봉, 일봉)

 

제가 비트를 매매할때 이평선을 참고하는것은 단 하나입니다. ‘이격’

 

이격이란 지표사이의 벌어진 정도를 뜻하며, 이격이 클 수록 ‘급하다’ 라고 판단합니다. 급하면 어떻게돼요? 반대로 토해내야죠

 

 

image.png

 

 

위의 사진을 보시면, 이평선끼리 이격이 너무 심해서 잠깐잠깐 토해내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평선을 모으는 작업입니다. 역추세를 갈기라는 소리가 아니예요

 

그럼 이평선 이격이 심한 정도를 어떻게 판단하는가? 과거의 이격과 비교해가면서 보시면 됩니다. 

이격 평균치보다 더 큰 이격이 일어났을때 익절을 하는 편이고, 역추세는 절대안하지만 정말가끔 하고싶을때 스탑잡고 들어가게 됩니다. 

말로 설명하기 힘든데 과거차트랑 비교해가며 감을 잡으시면 될거예요.

 

4. 이평선과 배열

 

이평선은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가 아닙니다. 

 

이평선은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가 아닌, 언제 튀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이평선이 모이면 방향이 나오게 되고, 이평선이 벌어지면 횡보하거나 역방향을 치게되죠. 이는 볼린저밴드의 확장 수축과 비슷한데 그 값을 구하는 공식의 요소가 이평선과 같기 때문입니다.

(볼벤중앙선이 이평20일선입니다)

 

따라서 횡보각을 잘 잡게해주는 아주좋은 마법의 지표이지만, 절대적인 방향예측에는 도움이 조또안되는 지표입니다. 

 

제가 막 그림그려서 무빙예측하는게 장난으로한게 아니고, 이평선을 생각하며 그린 그림들입니다. 실제로 무빙은 꽤나 비슷하구요.

 

제가 말한 부분들을 종합해보면, 저는 역배열과 정배열로 방향을 예측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모든지표가 그렇지만 이평선도 후행지표인데, 이미 역배열 된걸로 가격을 예측한다? 굉장히 어려운일입니다. 물론 4시간봉 역배열로 다 꼬이면 추세전환급으로 보긴 합니다만, 이런식으로 이평선을 활용 할 바에는 그냥 추세선긋고 추세선매매하는게 추세확인에 더 도움이 되겠죠. 

 

5. 결론

 

이평선 지지 저항은 눈대중으로 확인하는 것이지, 정확한 값을 찍고 오르길 바라는건 스탑잡기 너무 애매하다.

 

지표를 어떻게쓰던지 개인의 자유이지만, 저는 이평선을 지지저항에 쓰는게 아니라 무빙예측 및 익절범위 역추세범위 설정에 쓴다는 점을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자다가 일어나서 두서없이쓴거같기도하고... 도움이 많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질문있으시면 댓글로 고고!

 

퍼옴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947 비트코인 탐욕지수 우려스럽네 file 차트고수 2020.06.02 547 0
2946 빗코캐쉬 40만 가능? 4 가나요가즈아 2020.06.02 63 0
2945 비트코인 6월 2일 file readCrypto 2020.06.02 186 0
2944 롱숏싸움수준 ㄹㅇ실화냐? 진짜 세계관최강자들의 싸움이다(롱이 승리?) file ChartChild 2020.06.02 251 0
2943 [롱] 6월 2일 단타전략 업데이트 (30분봉) file postonly 2020.06.02 141 0
2942 롱장에서 숏으로 살아남기 1 스승님 2020.06.02 103 0
2941 이번 상승으로 BitMEX 만 1억2,300만 달러 숏 청산 2 내돈내놔 2020.06.02 126 0
2940 롱승차감 죽이네예 1 번개스캘퍼 2020.06.02 76 0
2939 여기서 숏을 친다고요? 1 file 하락봇 2020.06.02 86 0
2938 매매복기 file 이더맘 2020.06.02 123 0
2937 다시 말하고, 또 말하라 젤로는천사 2020.06.02 72 0
2936 [롱] 비트코인 분석 오래된 저항선과 앞으로의 대응 1 file korea_family 2020.06.02 205 0
2935 다음펀비 10 만원 먼디 ㅠ 1 file 히기리다 2020.06.02 103 0
2934 몇일전 마진판에 롱 20배 추천한분 누구였지 ㅎㄷㄷ 1 치와아 2020.06.02 87 0
2933 박스권 돌파 = 혁명빔 1 차트고수 2020.06.02 78 0
2932 건전한 조정 자리 ㅋㅋㅋ 1 아트싸커 2020.06.02 73 0
2931 9500 밑으로 숏 생존자 있냐? 1 갤럭시 2020.06.02 67 0
2930 8870롱 이거 얼마에 정리할까 1 미누88 2020.06.02 59 0
2929 숏펀비 엄청 늘었구만 2 치와아 2020.06.02 132 0
2928 숏정리 안했음 ㅈ됬뻔했네 1 숏다리 2020.06.02 84 0
Board Pagination Prev 1 ...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 883 884 ... 1027 Next
/ 102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04:23 $1,935,760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04:12 $1,913,745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01 04:10 $2,885,390
D
특정지갑에서 Gemini로 입금
24-06-01 04:10 $3,755,758
W
Bybit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4:05 $1,308,922
W
Coinbase에서 Binance로 출금
24-06-01 04:04 $1,737,853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4:04 $1,988,091
W
USDC Treasury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4:00 $25,110,330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03:59 $1,362,290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03:59 $2,881,300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03:59 $9,029,097
W
Binance에서 Bybit로 출금
24-06-01 03:59 $1,193,391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3:59 $2,881,306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3:59 $1,347,624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3:47 $1,840,739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01 03:45 $2,430,746
D
특정지갑에서 Bybit로 입금
24-06-01 03:45 $1,392,749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3:43 $1,355,890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01 03:42 $3,036,419
D
특정지갑에서 OKEx로 입금
24-06-01 03:41 $1,007,104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3:38 $3,024,321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3:37 $2,384,468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3:33 $2,582,414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03:33 $2,699,460
W
bitso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03:31 $1,035,768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