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비트코인을 1,000만 원에 사서 2,251만 원에 팔았습니다. 그리고 거래 수수료로 1만 원을 지불했는데요. 이 경우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나요?

 

=암호화폐 거래 소득은 ‘양도대가-(취득가액+부대비용)’의 방식으로 산출합니다. 양도대가는 매도 금액, 취득가액은 매수 금액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부대비용은 거래 수수료 등이죠. 이 계산법에 따르면 위 경우에는 1250만원의 거래 소득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비과세 대상인 250만원을 제외하고, 1000만원의 20%인 200만 원을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지방소득세를 포함하면 22%입니다).

 

 

#사놓았던 비트코인의 평가금액(가격)이 올랐습니다. 아직 매도해 현금으로 만들지는 않았는데요. 세금을 내야 하나요?

 

=사 놓았던 암호화폐의 가격이 올랐다고 해서 세금을 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암호화폐 거래 소득’에 대한 과세이기 때문에 현금화(매도)하지 않은 평가손익은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2021년 10월 1일 이전에 취득한 암호화폐의 취득가는 어떻게 산정하나요?

 

=‘입증할 수 있는 취득가액’과 ‘법 시행 전날(2021년 9월 30일) 시가’ 중 더욱 높은 가격인 것으로 취득가액을 정합니다. 예를 들어 2021년 9월 1일에 1000만원을 주고 비트코인을 구매했는데, 9월 30일에 비트코인 시세가 1500만원으로 뛰었다면 취득 가격은 1500만원이 됩니다. 취득 가격이 높게 산정될수록 거래 소득은 줄어들기 때문에 이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산정법입니다.

 


#암호화폐 거래소를 이용한다면, 매도 시 세금이 자동으로 공제되나요?

 

=아닙니다. 암호화폐 거래소는 국내 거주자의 암호화폐 거래 소득에 대한 세금을 원천징수할 수 없습니다. 본인이 거래 소득 발생 이듬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직접 진행하고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다만, 거래소들이 세금 계산을 쉽게 할 수 있는 전산 서비스를 별도로 제공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해외 거래소를 이용해 거래 소득이 발생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해외 거래소를 이용했더라도 거래 소득이 발생했다면 기간 내 반드시 신고를 해야 합니다. 해외 거래소에서 국내 거래소로 암호화폐를 전송해 이를 현금화하는 경우에는 과세 당국의 추적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소득 자산을 현금화하지 않고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 등 다른 암호화폐로 보유하면서 납세를 회피하려고 할 수 있겠죠. 내역 확보가 어렵다고 소득을 누락시키거나, 취득 금액을 허위 신고할 가능성도 있는데요. 과세 당국은 이를 막기 위해 해외 암호화폐 지갑 주소를 의무적으로 신고하게 하는 등 법령을 추가로 손 볼 계획입니다. OECD 자동금융정보교환 공통보고기준(CRS)에 암호화폐를 포함하는 정책도 추진합니다.


무신고, 과소신고자에게는 가산세를 부과합니다. 무신고로 인한 기본 가산세는 20%, 부정행위로 무신고시 40%, 해외거래 무신고시에는 60%를 매깁니다.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를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마켓에서 매도했습니다. 대가로 원화가 아닌 암호화폐를 받았는데요. 이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 경우 양도(매도) 대가를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암호화폐 특성상 거래소마다 시세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용한 거래소가 원화 환산 시세를 제공한다면 해당 시세를 참고하면 됩니다만, 과세 당국이 양도 대가를 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아직은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해외 거주자, 외국 법인은 어떤 방식으로 과세하나요?

 

=이 경우에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세액을 원천징수해 과세 관청에 납부합니다. 즉 세금을 뗀 매도 대금을 받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원천징수 금액은 양도가액의 10% 또는 양도차익의 20% 중 적은 금액으로 결정됩니다.
 

출처: 조인디 / 원문기사 링크: https://joind.io/market/id/2783
본 기사를 조인디와의 전재 계약 또는 별도의 협의 없이 무단으로 게재할 경우 저작권침해가 될 수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362 이러니 저러니해도 결국엔 트레이더는 대응과 결과로 말하는거 펑핑 2021.02.12 166 0
4361 이러다 클레이 선물도 나오는거 아녀 ㅎㅎ 번개스캘퍼 2020.06.04 74 0
4360 이러다 급락하면 흑우들 강제청산 장난없겄네 1 루비니교수 2020.04.09 91 0
4359 이러다 앞자리 4로 바뀌겠네 ㅋㅋㅋ 1 맨유 2021.12.04 141 0
4358 이러다 주식 깡통차겠다 file 팔라잇 2020.10.29 165 0
4357 이러다가 갑자기 존나 만불빔 3 택이 2022.06.20 173 0
4356 이러다가 청산 당하면 바낸이 복구해줌? 2 간드아앗 2023.04.10 109 0
4355 이러다가 훅 간다 2 고배금지 2022.09.02 136 0
4354 이러다간 다 죽어 1 오일남 2021.10.13 132 0
4353 이런 ㅆ 언제까지 떨구기만 할꺼야? 2 ㅇㅇ 2021.09.10 162 0
4352 이런 건 최근에 본적이 없음 뭐냐 진짜 1 file 목이버섯 2022.10.17 114 0
4351 이런 고수같아 보이는 매수 처음이야 file 타점 잘맞춤 2022.09.30 135 0
4350 이런 관점도 있네... file 골드크로스 2020.06.30 100 0
4349 이런 그림의 비트 상승도 가능할듯?? file 윤플러스 2021.04.13 217 0
4348 이런 급락 오랜만이네요 2 file 숏충이 2022.08.20 169 0
4347 이런 리딩이면 ㅇㅈ? 2 file 리딩맨 2021.10.20 117 0
4346 이런 매매는 어때? 펑핑 2020.08.17 84 0
4345 이런 매매하는 사람 있음? 2 모더나 2021.09.20 124 0
4344 이런 무빙 어디서 봤는지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3 위아래발라 2021.08.25 127 0
4343 이런 빔은 왜 생기는걸까 3 file 칠퍼센트 2022.08.02 136 0
Board Pagination Prev 1 ...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 1028 Next
/ 1028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D
특정지갑에서 Bybit로 입금
24-06-09 22:24 $1,004,293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2:22 $1,366,364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2:21 $1,394,943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9 22:20 $2,070,836
W
OKEx에서 Binance로 출금
24-06-09 22:18 $1,113,557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9 22:16 $2,487,559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2:06 $2,508,816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2:04 $2,721,824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09 22:03 $2,950,415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2:00 $1,016,661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9 21:59 $2,438,090
D
특정지갑에서 Bybit로 입금
24-06-09 21:54 $1,028,719
D
특정지갑에서 OKEx로 입금
24-06-09 21:51 $2,937,043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1:49 $1,557,723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1:49 $1,357,422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1:47 $1,473,761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9 21:46 $1,474,173
D
특정지갑에서 USDC Treasury로 입금
24-06-09 21:43 $1,330,259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1:39 $1,004,696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1:37 $1,322,857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9 21:36 $2,606,035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