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출처 http://www.coinreaders.com/8688

image.png

 

 


간밤 뉴욕증시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유럽 지역 봉쇄 강화 우려와 JP모건체이스, 시티그룹 등 주요 은행주 불안 등으로 큰 폭 하락했다.

 

21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4% 하락한 27,147.7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16% 내린 3,281.0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13% 하락한 10,778.80에 장을 마감했다. 미 증시 블록체인 테마도 1.53% 내렸다.

 

국제 금값은 달러화 강세 속에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2.6% 떨어진 1,910.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4시간 동안 시가총액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 BTC)은 글로벌 증시 급락 여파와 달러화 강세로 장중 10,500달러 선을 하회했다. 현재 비트코인은 기술적, 심리적 중요 지지선인 10,000달러 수준을 상회하고 있지만 11,000달러 허들은 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선 최근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매도세에 더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전통자산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향후 비트코인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다수 애널리스트들은 여전히 비트코인 시장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일례로 인기 있는 암호화폐 분석가인 돈알트(DonAlt)는 트위터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등 각국 중앙은행들의 지속적인 경기 부양책은 증시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에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또, 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조셉 영(Joseph Young)은 코인텔레그래프 기고를 통해 "블록체인 분석회사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주기영 대표에 따르면 최근 2개월간 대규모 채굴자들의 비트코인 매도가 있었다. 단 이 같은 매도 압력이 업계 전반의 반등 흐름을 저지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단기적으로 비트코인은 축적(accumulation, 경기상승 전환을 앞둔 주식매집) 단계가 지속됨에 따라 9,000달러에서 12,000달러 사이의 범위에 머물 수 있다"면서도 "비트코인이 이전 반감기 후 사이클을 따른다면 비트코인은 최근 반감기(5월) 이후 15개월 만(2021년 중반)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특히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가난한 아빠'의 저자이자 경제학자인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Toru Kiyosaki)는 최근 트위터를 통해 "코로나 백신 효과가 입증되면 금, 은, 비트코인은 급락할 것이다. 매수 기회다. 진짜 문제는 팬데믹이 아니라 엄청난 미국 부채다. 파산할 수도 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금, 은, 비트코인은 최고의 투자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암호화폐 분석가 니콜라스 멀튼(Nicholas Merten)은 최근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의 전망이 낙관적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약세로 보인다"면서, "비트코인이 이전 저항 수준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9,000달러까지 후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22일(한국시간) 오전 7시 45분 현재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BTC, 시총 1위)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3.04% 하락한 약 10,535달러를 기록 중이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307억 달러이며, 시가총액은 약 1,949억 달러이다.

 

이날 주요 알트코인도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이자 '톱' 알트코인인 이더리움(ETH) 시세는 5.84% 하락하며 약 34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총 4위 리플(XRP)도 4.85% 떨어진 0.2337달러 선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이밖에 비트코인 캐시(BCH, 시총 5위)는 4.32%, 폴카닷(DOT, 시총 6위)는 9.14%, 바이낸스 코인(BNB, 시총 7위)는 7.15%, 체인링크(LINK, 시총 8위)는 9.28%, 라이트코인(LTC, 시총 10위)는 7.01%, 카르다노 에이다(ADA, 시총 12위)는 8.81 각각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334억 달러이며, 비트코인 시가총액 점유율(BTC Dominance)은 58.3% 수준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3 11일 "비트코인 황소, 변동성 장세에 12,000달러선 회복 진땀"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11 139
292 11월 트위터 언급 순위 .. 1위 BTC · 2위 SHIB · 3위 ETH file 마진판 2021.11.29 132
291 11월 이더리움 옵션 거래량 153% 증가 ‘17.6억 달러’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2.14 113
290 11월 비트코인, 사상최고가 돌파 가능성은?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1.02 114
289 11월 14일, 미 SEC는 최초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여부 결정 file 마진판 2021.11.12 187
288 10일 "비트코인, 12,000달러 넘어야 진짜 랠리온다?"...체인링크·테조스 강세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10 239
287 10월 주요 거래소들의 비트코인 거래량 18% 가까이 감소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1.10 79
286 10월 비트코인, 사상최고가 넘나?…S2F모델 전문가 "BTC 10만달러 순항 중" file 마진판 2021.10.01 182
285 10년 전 오늘, 사토시 나카모토는 마지막 메시지를 보냈다 file 마진판 2021.04.28 167
284 100배 상승 가능성 지닌 5개 알트코인은?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05 644
283 (종합)이더리움 네트워크, EIP-1559 도입 후 100만 ETH 소각...가격 전망은? file 마진판 2021.11.25 203
282 (종합)이더리움 PoS 전환 임박...ETH 랠리 어디까지 file 마진판 2022.07.19 163
281 (종합)엘살바도르發 호재에 비트코인 37,000달러 회복…BTC 반등세 지속엔 '글쎄' file 마진판 2021.06.10 134
280 (종합)비트코인, 한달만에 51,000달러 회복…"10월 강세장(Uptober) 이어지나" file 마진판 2021.10.06 160
279 (종합)비트코인 장중 52,000달러대까지 후퇴…美 재무부 루머 확산 영향? 마진판 2021.04.19 136
278 (종합)비트코인 낙관론 '모락모락'...토큰 메트릭스 CEO "BTC, 바닥 도달" file 마진판 2022.02.08 137
277 (종합)비트코인 6% 급락, 리플·도지코인 등도 맥못춰…유니스왑·솔라나 강세 '눈길' 마진판 2021.04.26 101
276 (종합)비트코인 5만달러 회복, 중국發 폭락장 이후 처음…BTC 투자심리 '극단적 탐욕' 전환 file 마진판 2021.08.23 118
275 (종합)비트코인 4만달러 회복? 황소VS곰 누가 이길까?…블룸버그 "BTC 펀더멘털 여전, 10만달러 갈 것" file 마진판 2021.06.04 111
274 (종합)비트코인 3개월 만에 47,000달러 돌파...BTC 랠리 이유와 향후 전망은? file 마진판 2022.03.28 398
Board Pagination Prev 1 ...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