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출처 https://joind.io/market/id/3480

image.png

 


출처: 셔터스톡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 얌(YAM)과 스시스왑의 추락을 지켜본 일부 사람들은 디파이 종말이 머지 않았다고 내다봤다. 유니스왑(UniSwap)이 UNI 코인을 발행한 후 다시 상승세를 보였지만 이번엔 YFI 가격이 하락했다. 디파이는 정말 끝물인 걸까? 다음은 중국 암호화폐 미디어 훠싱차이징이 보도한 내용의 전문.

 

#디파이의 핵심은 유동성 채굴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라는 명언이 있다. 디파이가 정말 종말을 맞이할지는 일단 논외로 두고, 디파이가 블록체인 시장에 가져온 의미부터 살펴보자. 디파이의 핵심은 유동성 채굴이다. 참여자들에게 디지털 자산을 수탁받거나 이를 빌려주면서 이자를 줘야 한다.

 

이는 전통 금융권의 기능과 매우 유사한데, 차이점은 유동성 채굴 프로젝트가 이자뿐만 아니라 추가 보상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자산을 예치하든 대출을 받든 관계없이 플랫폼으로부터 자산에 대한 이자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플랫폼 토큰도 보상 받을 수 있다. 

 

디파이의 탄생은 블록체인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한 것을 의미한다. 디파이와 2017년 ICO 열풍을 두 시대로 구분할 수 있는데, ICO 시대는 '가치 인식'의 시대다. 이때는 프로젝트가 만들어지고 코인이 발행됐다. 그러면서 커뮤니티에서 발행된 코인의 가치를 인정하게 됐다. 디파이가 활약하는 지금은 '가치 저장' 단계다.

 

우리는 2017~2018년에 종종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이 코인은 가치가 있나? 휴지조각이 되는 건 아닌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도 예외없이 이런 질문을 받았다. 그 시절에는 비트코인의 가치에 대한 공통된 인식도 없었고 비트코인의 가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여전히 많았다.

 

#디파이, 얼마나 수익을 가져다 주느냐의 문제
디파이 출현의 가장 큰 의의는 비트코인이 가치가 있냐 아니냐는 수준을 벗어나 비트코인이 돈이 되는지 여부로 의식 전환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이런 전환 과정에서 암호화폐 관심자들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같이했다. 즉, 디파이 이후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무가치'가 되는 문제는 더이상 고민하지 않게 됐고, 이들 암호화폐가 얼마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만 고려하는 상황으로 바뀐 것이다.


 
 

또 다른 관점 하나는 비트코인이 가진 '51% 공격'의 개념이다. 비트코인 고래는 여전히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파이 출현 이후 고래 중 일부는 비트코인을 디파이 프로젝트에 락업했고, 이는 비트코인 가격을 안정화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 이를 가치의 향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시 토큰 문제로 돌아가보자. 은행에서 입금이나 대출을 하면서 뭔가 혜택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 암호화폐 업계에서 참여자에게 보상을 주는 일은 신규 투자자를 끌어들이는 고유 방식이다. 은행은 광고비를 쓰고 고객에게 포인트를 쌓아주는 데 반해 암호화폐 업체는 은행처럼 마케팅 비용을 쓰지 않는 대신 코인을 발행해 참여자에게 보상을 한다. 은행의 마케팅 비용에 비해 디파이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 비용이 더 저렴할 수 있다. 유니스왑의 UNI코인 발행이 전형적인 예다. UNI코인 발행 전, 혜성처럼 등장한 스시스왑은 유니스왑에 락업된 자산 70%를 빼앗아 가면서 한때 유니스왑을 위협했다. 그러자 유니스왑이 UNI코인을 발행하고 참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전략으로 자신의 고객을 지켰다. 게임의 법칙이 그런 것이다. 아무 것도 안 하면 다른 프로젝트에게 그 자리를 뺏긴다.

 

블록체인 금융은 거래소 레버리지, 대출 및 재무 관리, 탈중앙화 보험, 심지어 파생상품 투자와 예술품 투자 등으로 확장되기 시작했다. 디파이의 등장은 블록체인 금융 체인의 성장을 자극함으로써 블록체인의 가치를 배가시킨다.

 

#디파이가 폰지 사기?... 실제로 수익창출
혹자는 디파이가 폰지 사기라고도 말하지만 디파이 자체는 폰지 사기가 아니다. 결국 폰지 사기는 오퍼러가 프로젝트를 어떻게 구축하느냐에 기반한다. 디파이의 기본 개념은 가치 저장이며, 디지털 화폐의 차입과 대출을 통해 실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므로 폰지 사기의 근거가 없다.

 

물론 디파이 프로젝트에도 폰지 사기가 있다. 이는 개별 프로젝트가 처음부터 그렇게 계획했기 때문이다. 스시스왑처럼 수익 체인을 구축하지 않고 코드만 복사하고 코인을 발행한다면 결국 그 프로젝트는 아무 것도 남지 않는 폰지 사기 프로젝트가 되고 만다.

 

현실 세계이든 디지털 세계이든 금융을 말할 때는 반드시 신용을 강조해야 한다. 결국 돈의 문제이고 디파이도 예외일 수 없다. 신용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 한, 더 이상 금융 프로젝트를 논할 수 없다. 이것이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 스시와 얌은 이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출처: 조인디 / 원문기사 링크: https://joind.io/market/id/3480
본 기사를 조인디와의 전재 계약 또는 별도의 협의 없이 무단으로 게재할 경우 저작권침해가 될 수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3 디파이에 몰리는 자금… 올 3분기 크립토 투자 중 65%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28 116
1732 디파이는 왜 블록체인 시장의 뜨거운 감자가 된 걸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16 103
» 디파이는 끝물?...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23 120
1730 디파이, 인터넷의 이메일 서비스 될 수 있을까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19 97
1729 디파이, 2020년 2분기 사용자 20% 증가...생태계 공정성 의문 제기 마진판 리서치센터ㄱ 2020.07.16 113
1728 디파이(DeFi)에 락업된 가치는 40억 달러를 기록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27 117
1727 디파이(Defi) 열풍의 뒷모습...디파이 프로젝트 '먹튀' 소식 잇따라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12 81
1726 디파이 흥행파워 이끄는 컴파운드의 '무서운 질주'...ICO와는 다를까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6.22 123
1725 디파이 플랫폼, 위태로운 가로수 길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07 112
1724 디파이 프로젝트 '스시스왑'은 스캠?..."음식 이름 들어간 토큰 조심해야"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15 127
1723 디파이 펀더멘탈, 시장 규모에 못 미쳐.. 거품 탓?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11 85
1722 디파이 트레이딩이 이더리움에 부담을 주고 있다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06 95
1721 디파이 토큰 7일간 50% 급락.. 건전한 조정 가능성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10 160
1720 디파이 이자 농사 직접 해봤다..그 결과는?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02 205
1719 디파이 이용 이더리움 주소 수 291만개 … 전 분기 대비 65% 급증 file 마진판 2021.08.04 144
1718 디파이 예치 자산 90%, 6개 프로젝트에 집중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27 111
1717 디파이 예치 디지털자산 '비트코인↑·이더리움↓'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5.13 103
1716 디파이 시장의 거품을 우려하는 이유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9.04 113
1715 디파이 시가총액 하루에 25% 하락 & 거래량 30% 감소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0.09 91
1714 디파이 시가총액 100억달러 돌파...체인링크 활성주소 역대 최고 갱신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22 85
Board Pagination Prev 1 ...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