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106 추천 수 0 댓글 0

img.png

CONTENTS
1. DID 뜻
2. DIDs란?
3. DID 현황
4. DID 활용 사례
5. DID 활용 범위
6. DID 관련 디지털 자산

 

1️⃣ DID 뜻

img.jpg

 

DID(Decentralized Identity, 분산신원확인)란 신원인증에 대한 새로운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원을 인증하려면 중앙화된 기관의 확인 및 검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DID는 기존 중앙화된 기관의 확인 및 검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중앙화된 기관없이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신원을 인증할 수 있도록 구현된 기술입니다.

DID를 온전하게 이해하려면 SSI(Self-Sovereign Identity, 자기 주권신원)을 우선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SSI는 자신 스스로 신원을 증명할 수 있는 방법론입니다.

보통 우리는 자신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의 신분증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신분증은 신뢰할 수 있는 중앙기관인 정부에서 발급했기 때문에 해당 신분에 대한 증명 및 검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SSI는 정부가 발행한 신분증으로 자신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즉, 신뢰할 수 있는 어떠한 기관에 의해 증명하는 것이 아닌, 기술적인 토대를 기반으로 자신 스스로를 증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민등록증 등과 같은 신분증은 중앙원장기술을 활용한 것이고, SSI는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하여 신분을 증명하는 방식입니다.

탈중앙화 기술인 블록체인의 발전으로 중앙화된 방식의 신원인증에서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신원인증이 가능해졌습니다. DID는 SSI를 기술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체화된 방법입니다.


2️⃣ DIDs란?

img.png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웹 표준 컨소시엄)에서 DIDs(Decentralized Identifiers, 탈중앙 식별자)의 표준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DIDs는 검증가능하고 탈중앙화된 디지털 신원을 위한 새로운 형식의 식별자입니다.

이 식별자를 간단히 살펴보면 DID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DID 메소드로 자신의 주소를 만들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아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1. 식별자(Identifier)

식별자는 개인 또는 단체 등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값으로, 이메일 등과 같이 중복되지 않는 값을 뜻합니다.

2. DID 문서

특정 DID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에는 DID 인증정보가 들어가며 ID의 제어권, 소유권 등을 증명할 수 있는 공개키 및 인증정보가 포함됩니다.

3. DID 메소드

분산신원원장에서 DID 관련된 문서들을 생성, 읽기, 갱신, 비활성화하는 메커니즘입니다.

4. DID 형식

◼ did : 문자열이 did인 것을 나타내며, 항상 did로 시작

◼ example : DID 메소드의 이름(식별자), 메소드별로 다르게 처리

◼ DID 메소드 식별자 : DID 메소드 안에서 사용되는 고유 아이디


3️⃣ DID 현황

img.jpg

DID는 2018년 5월 유럽의 개인정보보호규정, 미국의 소비자 프라이버시 권리장전, 2017년 일본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시행 등 개인정보 권한 강화가 트렌드로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페이스북, 우체국 등 각종 플랫폼 및 서비스에서 국내외를 불문하고 개인정보 해킹사건들이 일어나며 더욱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DID 기술을 W3C(World Wide Consortium)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ICT 기반 탈중앙화 비대면 표준화포럼에 DID포럼을 포함시키며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국내에서 '이니셜 DID연합', 'DID얼라이언스',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마이키핀 얼라이언스' 등 DID 서비스 상용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카카오, 네이버 SK 텔레콤 등이 대표적으로 DID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 인증을 통해 DID를 구현하고 있으며, 카카오 자회사 그라운드X가 개발한 '클레이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인증은 정부 24, 국가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홈택스 등 여러 곳에서 사용 중입니다.

네이버는 DID기술을 활용한 인증서비스를 국민연금공단, 청약홈,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분야 뿐만 아니라 교보라이프플래닛, 메리츠화재, KB증권, IBK 기업은행, 우리은행, DGB금융그룹 등 민간 분야에서도 접목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Initial DID 연합'을 주도하고 있으며, SK텔레콤을 포함한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14개의 은행사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DID 어플리케이션 '이니셜'에서 정부24를 이용할 수 있으며, NH 농협은행의 '모바일 사원증 서비스' 및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제공중인 '이니셜 보험 보상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4️⃣ DID 활용 사례

img.jpg

마이크로소프트의 DID 서비스인 Microsoft Entra Verified ID 사례를 통해 DID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DID 서비스는 W3C DID, 신뢰 시스템, DID 사용자 에이전트, 마이크로소프트 리졸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ID의 가장 큰 특징인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자신의 ID를 생성, 소유, 제어할 수 있으며, W3C DID를 통해 구현됩니다.

W3C에서 표준으로 제시된 DID를 사용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 뿐만 아니라, W3C에서 표준으로 제시한 다른 서비스에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W3C DID를 사용하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DID 인증 서비스 뿐만 아니라, 타사에서 제공하는 인증서비스도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관리하며 인증할 수 있습니다.


5️⃣ DID 활용 범위

img.jpg

DID는 리테일, 공급망, 인증, 법 준수, 개인증명, 온라인 로그인, 회사 출입증, 통신서비스, 금융거래 등 여러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 통신사, 카드사, 금융사, 정부기관 등에서 DID 기반의 증명서 발급 서비스 등을 시범적으로 진행중이며, 실제로도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W3C가 DID를 W3C 권장사항으로 발전하도록 승인하고, DID 코어 1.은 공식적으로 W3C 표준이 되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여러 영역에서 그동안 진행해 오던 DID 활용방안이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6️⃣ DID 관련 디지털 자산

img.jpg

1. 아이콘(ICX)

아이콘은 '루프체인'이라는 독자적인 블록체인 코어 엔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당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My ID'라는 DID 플랫폼을 오픈하였으며, 플랫폼을 활용하여 국내 최초 금융권 DID 서비스 '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원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된 개인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저장했다가 인증이 필요한 때 필요한 정보만 골라 간편하게 제출하는 구조로 서비스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Visit Me'라는 방문 기록을 남길 수 있는 비대면 인증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SKT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백신여권 우선협상자로 선정되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 메타디움(META)

메타디움은 목적 자체가 DID로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을 위한 프로토콜에 사용하는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입니다.

메타디움의 핵심 기술 파트너사 코인플러그는 현재 'MY KEEPIN', 'B PASS', 'META PASS' 등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MY KEEPIN'은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관리 플랫폼으로 앱에서 메타디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하나의 메타ID를 만들어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B PASS'는 부산테크노파크에서 사원증으로, 'META PASS'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사원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ㅣ다.

3. 시빅(Civic)

시빅은 블록체인 기반 개인 신원확인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방접종 상태를 검증할 수 있는 COVID Health Key 등 여러 제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1년 초반 솔라나 블록체인과 통합을 발표하여 보다 낮은 수수료 및 빠른 속도의 서비스가 가능해졌습니다.

이외에도 메디블록(MED), 휴먼스케이프(HUM), 솔브케어(SOLVE), 피르마체인(FCT2), 아르고(Aergo), 온톨로지(ONT) 등 여러 프로젝트들이 DID 분야에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0527 [롱] 7월 05일 매매전략 업데이트 file Postonly 0.01.30 187 0
20526 21.09.23 / 비트코인 4시간봉 분석 file Tommy_Trader 1151.09.23 169 1
20525 정말 비슷하게 흘러간다 file junnnnnnnnne 1231.12.10 29 0
20524 양운구름대의 등반. 7100~7200달러 목표 file 은사 1516.04.12 165 0
20523 [숏] 4시간봉 수렴의 끝자락 롱전략, 숏전략(진입가,타겟가,스탑로스 포함) file postonly 1550.04.30 302 1
20522 지금 눌림목 구간 롱갑니다~ 반감기 호재 반영전 기회주네요 1 롱다리 2004.02.15 74 0
20521 MACD선, 시그널선 0 돌파구간 file readCrypto 2010.04.20 123 0
20520 비맥 100불 띠기 7일차 수익 틱띠기 2019.08.23 450 0
20519 모두가 롱을 볼때 숏을 봤더니 ㅋㅋㅋ 숏다리 2020.02.20 94 0
20518 비트시장은 이제 완죤 카지노구나 1 너구리 2020.03.02 101 0
20517 CME 선물 갭의 규칙 cme 후 2020.01.29 756 0
20516 엘리어트 파동 잘 맞췄다 끝까지 맞추고 유종의 미를 거두자!!!! file KelleyFinance 2020.01.29 379 0
20515 02/01 BTC 차트 분석 (9.7k를 돌파할 수 있을까?) file dongha21 2020.02.01 180 0
20514 02/02 EOS 차트 분석 (더블 라이징웻지의 가능성) file dongha21 2020.02.02 244 0
20513 BTC 단기 주요 지지대와 휩쏘에 대한 이야기 file dongha21 2020.02.02 195 0
20512 트랜드 포머 추천 시그널 손익현황 file ssabu 2020.02.02 508 0
20511 변동이 임박한 비트코인의 모습 (일곱가지의 근거) file dongha21 2020.02.03 141 0
20510 2월3일 비트코인 방향과대응 file yongs 2020.02.03 236 0
20509 트랜드 포머 추천 시그널 포지션 현황 file ssabu 2020.02.04 594 0
20508 20/02/04 비트코인 박스권 횡보 힘모으기중 file SuRe_Invest 2020.02.04 214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7 Next
/ 102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2 00:04 $700,592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2 00:04 $1,347,295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2 00:04 $1,091,893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2 00:04 $815,116
W
Binance에서 Coinbase로 출금
24-06-02 00:04 $1,973,794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2 00:04 $1,010,475
W
Kucoin에서 Binance로 출금
24-06-01 23:59 $755,346
W
Binance에서 OKEx로 출금
24-06-01 23:58 $701,343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57 $789,861
W
OKEx에서 Binance로 출금
24-06-01 23:57 $1,065,037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23:56 $1,089,640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23:55 $1,006,110
W
Huobi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54 $5,030,552
W
Binance에서 OKEx로 출금
24-06-01 23:53 $1,533,514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01 23:44 $2,896,554
D
특정지갑에서 Coinbase로 입금
24-06-01 23:44 $602,369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44 $881,484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43 $992,314
W
Coinbas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42 $637,037
D
특정지갑에서 OKEx로 입금
24-06-01 23:40 $651,594
D
특정지갑에서 Bybit로 입금
24-06-01 23:39 $501,422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23:36 $7,993,311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23:36 $599,498
W
Huobi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34 $1,985,794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33 $620,411
D
특정지갑에서 Huobi로 입금
24-06-01 23:30 $4,993,618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29 $799,431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1 23:29 $970,461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1 23:28 $597,912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