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출처 조인디 / 원문기사 링크: https://joind.io/market/id/4704

image.png

 


출처: 셔터스톡

12월 16일(현지시각) 비트코인(12.83%)이 사상 처음으로 2만달러를 돌파했다. 지난 3월 코로나 여파로 5000달러 초반대까지 떨어졌던 비트코인은 그후 반등을 거듭하다가 10월 후반 가파르게 상승하더니 결국 2만달러 관문을 넘어섰다. 비트코인이 롤러코스터를 타는 동안 과연 누가 가장 많은 이득을 봤을까. 중국 암호화폐 거래소 오케이이엑스(OKex)는 8~11월까지 거래소 내 BTC/USDT 일일 거래 데이터를 통해 과연 어떤 유형의 투자자가 높은 수익을 올렸는지 분석했다.

 

#비트코인 언제 사서 언제 팔았나
보고서는 분석을 위해 투자자의 유형을 크게 다섯가지로 분류했다. 일일 거래량이 0.5BTC 이하인 개인투자자, 0.5~2BTC인 전문투자자, 2~5BTC인 고래, 5~10BTC인 대형 고래, 10BTC 이상 기관투자자다. 물론 기관이나 고래라고 해서 거액 거래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투자자도 더 큰 규모의 거래를 할 수 있지만,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같이 분류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먼저, 8~11월까지 4개월(122일) 간 일일 0.5BTC 이하 거래량이 가장 많았다. 이 구간에 속하는 개인투자자는 122일 중에서 65일은 매도를 택했다. 즉 비트코인 매수보다는 매도를 더 많이 한 것이다. 이들은 8월 비트코인이 1만1000달러일 때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해 매도하는 쪽을 선택했다. 9월 1만달러로 하락하자 매수로 방향을 틀었고, 그후 1만5000달러까지 오를 때 우왕자왕하다가 결국 11월 후반대 되팔기 시작했다.

 

일일 거래량이 0.5~2BTC 구간대인 전문 투자자들은 개인투자자들이 9월 이후 주로 매수한 것과 달리, 10~11월 매수했다. 주로 1만1500~1만2500달러, 1만3500~1만5300달러일 때 샀다. 

 

일일 거래량이 2~5BTC인 고래들은 10~11월 매도했다. 1만1000달러일 때 사서 개인과 전문투자자가 매수할 때 팔아치운 것이다. 5~10BTC 구간의 대형 고래들도 이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9~10월 휴지기를 가진 다음 11월 후반대 공격적으로 매수했다.


일일 거래량이 10BTC 이상인 기관투자자들은 다른 투자자들에 비해 매수-매도가 균형있게 이뤄졌다. 매도 성향이 특정 달에 편향되지 않은 반면 매수는 9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 비트코인이 1만~1만1500달러일 때 눈에 띄게 늘어났다. 

 

#8월엔 대다수 매도... 9월부턴 서로 엇갈려
정리하자면, 8월 비트코인이 1년 만에 처음으로 1만1000달러를 돌파하자 대다수 투자자들은 대량으로 매도했다. 1만~1만1000달러를 횡보하던 9월엔 개인투자자들은 매수를, 기관을 제외한 나머지 투자자들은 매도를 택했다. 10월에는 비트코인이 1만3500달러까지 오르자 개인과 기관은 매수한 반면, 중간 규모 거래자들은 매도했다. 마지막으로 11월에는 개인과 전문투자자들은 매수를 지속했고, 고래와 기관은 매도했다.

 

8월에는 대다수 투자자들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였지만 9월부터는 서로 다른 전략을 취한 것이다. 특히, 11월 개인과 전문투자자, 고래와 기관의 선택이 극명하게 갈리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지속 상승하지 못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추세 때문에 11월 25일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 기록에 도전하다가 실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누가 가장 이득 봤을까
그렇다면 가장 이득을 본 투자자 유형은 무엇일까. 보고서는 고래와 기관 등 거액 투자자들의 이익이 높을 것으로 추산했다. 4개월 간의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개인투자자들은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추격하는 경향이 컸다. 보고서는 "가격이 오르면서 추격매수를 하다보니, 중기적으로는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고래나 기관은 비교적 균형적인 거래를 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이들은 가격보다는 다른 투자자들의 심리를 꿰뚫어 보고 그에 맞는 투자 전략을 취했다. 보고서는 "이들은 개인이 공황상태에 빠지도록 시장을 밀어붙이면서 추가 매수 기회를 엿본다"며 "결국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두 가지다. 지금처럼 시장의 흐름에 휩쓸리거나, 아니면 반대로 역행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33 데이터 : 지난 30일 동안 38,262 BTC가 거래소에서 빠져나감 file 마진판 2022.07.18 131
4932 이더리움, 9월 메인넷 PoS 병합 기대감에 랠리..."ETH 가격 폭등할 것" 낙관론 잇따라 file 마진판 2022.07.18 153
4931 비트코인 안도랠리, 불트랩?...BTC 전망, 강세론 vs 약세론 '팽팽' file 마진판 2022.07.18 212
4930 '부자아빠' 저자 "밀레니얼 세대, 암호화폐 투자로 백만장자 됐다"..."비트코인, 1.7만달러에 추매할 것" file 마진판 2022.07.15 153
4929 크립토퀀트 CEO “비트코인, 큰 숏 스퀴즈를 기다리고 있다” file 마진판 2022.07.15 218
4928 서클, USDC는 현재 557억 달러의 준비금을 보유 file 마진판 2022.07.15 145
4927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 20% 인원 감축 file 마진판 2022.07.15 138
4926 셀시우스 CEO “대차대조표에 12억 달러의 구멍이 있다” 인정 file 마진판 2022.07.15 157
4925 크립토퀀트 CEO “나는 퍼마불(언제나 시장 방향에 긍정적)이 아니다. 숏포지션으로도 수익 얻어” file 마진판 2022.07.15 175
4924 가상지갑에 들어온 출처 불명 비트코인 임의로 쓴 20대 '무죄'..."처벌 명문규정 없어" file 마진판 2022.07.14 188
4923 공매도의 전설 "비트코인 1만달러·이더리움 200달러 전망...웹3는 큰 환상" file 마진판 2022.07.14 181
4922 암호화폐 대출기업 셀시우스, 파산 신청 공식발표 file 마진판 2022.07.14 176
4921 미국 디즈니, 폴리곤(MATIC) 등 6개사를 사업개발 프로그램 선정 file 마진판 2022.07.14 182
4920 바이낸스의 BNB, 5700억원 상당의 토큰 소각 완료 file 마진판 2022.07.14 157
4919 크립토퀀트 : CPI 발표 시점에 기관들 코인베이스서 매도 file 마진판 2022.07.14 154
4918 (종합)금통위, 기준금리 1.75→2.25% 인상…뛰는 물가에 사상 첫 '빅스텝' file 마진판 2022.07.13 139
4917 美 CPI 앞두고 비트코인 3%대 하락...BTC 바닥 아직 멀었다? file 마진판 2022.07.13 192
4916 외신 13일 암호화폐 시장동향 .. 오늘밤 CPI 발표에 높은 관심 등 file 마진판 2022.07.13 150
4915 셀시우스, 에이브에 840만 USDC 상환하고 10,500 stETH 담보물 인출 file 마진판 2022.07.13 148
4914 이더리움 L2 ‘아비트럼’, 새로운 블록체인 론칭 file 마진판 2022.07.13 155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W
Kraken에서 Binance로 출금
24-06-02 20:26 $1,984,517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2 20:25 $1,997,753
W
Binance에서 OKEx로 출금
24-06-02 20:06 $7,962,486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