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출처 조인디 / 원문기사 링크: https://joind.io/market/id/5369

image.png

 


출처: 셔터스톡

비트멕스 리서치에서 시작된 ‘이중지불 논란’의 진실은 무엇일까. 지금까지 나온 전문가들의 코멘트와 관련 기록을 종합해 보면 이중지불이 아닌 정상적인 수수료 대체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비트코인 ‘이중지불’ 논란의 전말  
1월 20일 비트멕스 리서치는 트위터에 이런 글을 올렸다. “비트코인 66만 6833블록에서 스테일 블록(채굴자에 의해 채굴됐지만 블록체인 상 기록되지 못한 블록)이 발생했다. 슬러시풀이 F2풀을 이겼다. 약 0.00062063BTC(21달러) 가량에 대해 이중지불 시나리오(double-spend-like scenario) 가능성이 있다.” 이 글은 일파만파 확산됐다.

 

비트멕스 리서치는 “경쟁에서 진 체인의 트랜잭션이 0.00062063BTC를 1D6aebVY5DbS1v7rNTnX2xeYcfWM3os1va로 전송했으며 같은 주소로 이긴 체인은 0.00014499BTC만 전송했다”고 작성했다.
 
블룸버그는 비트코인 이중지불 논란이 알려지면서 1월 21일 비트코인이 11%나 폭락해 변동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비트코인이 이중지불 됐다는 것은 블록체인의 신뢰성에 큰 타격을 준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의 거래 내역은 위변조할 수 없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잃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중지출은 블록체인이 조작됐고 비트코인이 증권이라는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21일 데이터 분석가 루카스 너찌(Lucas Nuzzi)가 트위터를 통해 이는 “이중지불이 아니라 RBF(Replace By Fee, 블록 생성 전 더 높은 수수료를 지닌 다른 트랜젝션 발생시 이전 거래는 무효화되고 새로운 거래를 성립하는 처리방식) 사례일 가능성이 크다”며 비트멕스 리서치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같은 날 비트멕스 리서치도 비트코인 이중지불이 아닌 RBF 현상이었다고 결론 내렸다. 원래 트랜잭션을 발생시킨 고객이 채굴자들이 낮은 수수료로 인해 두 번에 걸쳐 수수료를 조정했고, 이후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체인 분리가 일어났던 것이다.

 

#이중지불과 RBF
루카서 너찌는 트위터를 통해 이번 RBF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했다.
 
1. 1월 18일 한 거래자가 수수료가 낮은 트랜잭션을 발생시켰다. 낮은 수수료의 트랜잭션을 보내면 채굴자들은 더 많은 이익을 얻을만한 기회를 찾기 때문에 이 거래는 전송되지 않고 정체된다.


2. 이때 트랜잭션을 발생시킨 유저에겐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하나는 수수료가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고, 하나는 채굴자에게 수수료를 인상하겠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미 발생한 트랜잭션 수수료를 인상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더 높은 수수료로 대체(RBF)’하는 것이다. 


3. 간단히 말해, RBF는 원래 거래에 더 높은 수수료의 새로운 거래를 복사 붙여넣기 하는 것이다.


4. 사용자는 하루가 지나도록 채굴자들이 자신의 트랜잭션을 처리하지 않자 두 번 더 수수료를 높여 트랜잭션을 발생시켰다. 사용자는 총 3번의 트랜잭션을 발송시켰고, 그 이후에 채굴자들이 거래를 처리했다.

 

비트코인은 애초에 이중지불을 할 수 없는 구조로 설계됐다. 하나의 블록에서 두 가지 거래가 발생할 경우 다른 채굴자들에게 인정받은 한 가지 거래만 네트워크에 유효한 것으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채굴자들에게 선택받지 못한 거래가 스테일 블록(고아 블록)이 된다.

 

비트멕스 리서치가 처음에 비트코인이 ‘이중지불’됐다고 한 까닭은 RBF로 처리된 새 거래와 낮은 수수료를 대가로 제시했던 첫 거래(스테일 블록)가 둘 다 관련 분산거래원장에 처리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당 거래 중 단 하나만 채굴자들의 6컨펌을 거쳐 최종 승인이 되고, 다른 거래는 체인에서 분리가 됐다. 이중지불과는 상관이 없다.

 

너찌는 “중요한 것은 이것이다. 같은 트랜젝션에 대해 두 가지 버전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오직 하나만이 노드와 비트코인 네트워크 사용자들로부터 궁극적으로 승인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중지불은 전송자가 의도적으로 수신자를 속이는 것이다. 따라서 수신자는 6컨펌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이번 해프닝에서는 의도성도 보이지 않고, 정상적으로 6컴펌도 진행됐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33 9300불 부근 숨고르는 비트코인…트레이더 “올해 대부분 6000불~1만불 박스권”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6.26 163
2032 CME 비트코인 선물, 갭(가격 차)은 25 달러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06 163
2031 와이스 레이팅스, 신세틱스(SNX) 연말까지 3배의 가치 상승 예상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21 163
2030 영국 '암호화폐 파생상품 투자금지'는 실수다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0.14 163
2029 [금주 암호화폐 관전 포인트]비트코인 25,000달러·이더리움 700달러 돌파 주목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2.21 163
2028 [시황] 비트코인 2만9천달러 돌파, 이더 상승에 베팅한 옵션 투자자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2.31 163
2027 `비싸도 너무 비싼` 이더리움 수수료, 대폭 개편된다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1.12 163
2026 알렉스 크루거, 비트코인이 약세장으로 전환하는 요소는?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01 163
2025 CME 비트코인 선물 갭 780 달러 생성 마진판 2021.03.22 163
2024 "비트코인 도미노 효과"…엘살바도르 이어 통가 BTC 법정통화 인정할 수도 file 마진판 2021.06.10 163
2023 비트코인 4만달러 회복에도 그레이스케일 창업자 "99% 암호화폐, 너무 비싸" file 마진판 2021.06.15 163
2022 외신, 25일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 35000달러까지 연장, 이더리움 2.0 예치액은 전일 대비 +10만 ETH 등 file 마진판 2021.06.25 163
2021 이더리움 2천달러선 재진입 시도…유명 애널리스트 "ETH 저평가 심각, 수년 내 가격 폭등" file 마진판 2021.06.28 163
2020 외신, 30일 암호화폐 시장 .. 시세 지표 신호 등 file 마진판 2021.06.30 163
2019 이더리움(ETH), 런던 하드포크·기관 투자에 투자심리 긍정적으로 바뀌나? file 마진판 2021.07.08 163
2018 1월 이후 80%의 성장률이 지속되고 있는 암호화폐 사용자 file 마진판 2021.07.30 163
2017 비트코인 美세금·中단속 악재에 4만달러 '흔들'…"BTC 저평가" 낙관론도 여전 file 마진판 2021.08.02 163
2016 이더리움(ETH), '런던 하드포크'에 3천달러 돌파할까…전망은 강세론 vs 신중론 엇갈려 file 마진판 2021.08.05 163
2015 스위스 금융 3사, 기관에 테조스 기반 토큰화 자산 제공…XTZ 12% 급등 file 마진판 2021.08.24 163
2014 카르다노(ADA)·솔라나(SOL) 등 알트코인 급등…"JP모건, 위험신호 경고" file 마진판 2021.09.03 163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