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4901 추천 수 0 댓글 1

어디까지나 참고로 보셨으면 합니다.

 

이미 돈을 많이 굴려보신 분들은 다 아실 내용이라 부끄럽지만 써보았습니다.

 

며칠 전 200정도 털리고 쉬다와서 다시 시작한 소액 고배율 계정 허접한 인증부터..

 

 

image.png

 

 

현재 지갑에 350불정도 있으니 약 2배정도 불린 셈이네요.

 

 

주의할 점:

 

1. 물타기에 쓰인 금액은 잠시 빌렸다고 생각하고 욕심없이 바로 뺀다

 

2. 최대 증거금을 정해두고 더 발라먹을 수 있을 것 같아도 절대 넘기지 않는다

 

3. 원사이드하게 반대방향으로 쏠 경우 손절가를 지키고 포지션을 다시 잡는다 (고집부리지 않는다)

 

3번이 가장 중요합니다. 물타기는 결국 반대방향으로의 일방적 무빙에 대한 대처가 전혀 안되기 때문에

 

고집부리다가는 청산당하기 쉽습니다.. 절대 고집부리지 맙시다.

 

 

일단 기본적인 원리는 물타기에 쓰일 금액을 이용한 스캘핑입니다.

 

가상의 차트를 보시지요.

 

 

image.png

 

 

매수 시점 A에서 박스권을 이탈하여 아래에서 더블바텀을 그리고 다시 복귀하는 차트입니다.

 

A에서 10개를 매수했다고 합시다. 현실적인 베스트 시나리오는 C 정도에서 손절 후 D에서 다시 10개 롱포지션을 잡아 H에서 파는 것이겠지요.

 

이 때는 10의 손해 이후 30의 이득으로 총 20의 이득을 볼 수 있겠네요.

 

그런데 보통의 경우는 B까지 손절 못하고 기다리다가 C까지 반등오는걸 보고 역시 난 맞았어! 하다가 D~F 이후 기도하면서 기다리고

 

결국 H에서 눈물의 본절로 마무리하는 그림이 나옵니다.

 

 

그래서 다음에는 이런 상황에서 물타기로 이득을 봐야겠다고 생각했다가 같은 그래프에서 B에서 물탄 다음 C에서 본절 이상 욕심을 내고,

 

다시 D에서 불어난 마진으로 청산이 두려워 크게 손절하는 상황이 나오게 되죠.

 

보통 소액 고배율은 시드 자체가 적기 때문에 물타기 실패가 청산 위험으로 직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물을 타면서도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저는 물타기에 이용한 금액을 바로 스캘핑의 형태로 빼버립니다.

 

위의 차트를 다시 보시지요.

 

image.png

 

 

A에서 롱포지션 10개 진입했다가 B를 맞았습니다.

 

그런데 B에서 반등 신호가 왔고, 실제로 반등을 합니다.

 

저는 이 때 (B', 예로 8.5) 원금의 50~100% 정도의 물을 탑니다.

 

예시에서는 계산의 편의를 위해 거래 금액을 10개로 통일하겠습니다.

 

이후 익절이라고 부를만한 최소한의 자리에서 (C) 바로 물탄 돈을 익절합니다.

 

애초에 저는 10개짜리 포지션을 잡고 싶었으니 그 이상 증거금을 만드는 것은 욕심이니까요.

 

이런 방식으로 B'->C 익절, D'->E 익절, F'->G 익절 총 세 번의 물타기와 익절 성공을 거쳤다고 칩시다.

 

이 때 평단가는 A(10), B'(8.5), D'(7.5), F'(7.5) 총 4번 10씩 구매했으니 8.375가 됩니다.

 

그리고 물타기 스캘핑을 통한 실현 수익은 0.5 * 10 씩 세 번, 15 달러가 되겠죠.

 

이 때 평단가에 도달한 지점 (G)에서 본절만 쳐도 이익은 15달러가 됩니다.

 

아까 현실적인 베스트 시나리오 (20달러)와는 차이가 조금 있지만, 원래였으면 매도하더라도 손해를 볼 자리였으니 불만은 없습니다.

 

만약 F 이후에 반대로 손절가인 6달러까지 떨어져서 손절한다고 하더라도, 이전까지 10달러의 이익을 봤기 때문에 총 손실이 줄게 됩니다.

 

 

그러면 이러한 방식은 무적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앞서 말했듯, 이 방식은 여타 물타기와 마찬가지로 원사이드한 흐름에 무력합니다.

 

물타기는 결국 증거금을 불리는 방법이기 때문에 청산가가 가까워지고 리스크가 올라갑니다.

 

그래서 계속 물만 타고 물탄 증거금을 해결하지 못하면 결국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도박에 가까워집니다.

 

그래서 물탄 금액은 스캘핑을 하듯 빠르게 해결해줘야 합니다. 그래야 리스크 관리가 되고, 그래야 도박이 아닌 트레이딩입니다.

 

그리고 하다보면 물탄 증거금을 해결하지 못했는데 조금 더 아래에서 찐반등 자리가 나올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물을 더 타고싶어질 때가 있겠죠. 하지만 최대 증거금을 설정해두고 절대 욕심내면 안됩니다.

 

저는 30배 위주로 하는데, 최대 증거금을 지갑 잔고의 20% 정도로 설정합니다.

 

그래야 손절할 때의 리스크가 감당되더라구요.

 

이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30배가 거래 사이즈 치기 편해서 30배로 설정하되 잔고를 적게 씁니다.

 

잔고를 풀로 쓴다 치면 6배와 비슷한 수준의 리스크일겁니다.

 

이 부분은 어차피 배율과 손절가 설정의 문제라.. 알아서 하셔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찌되었든 소액 고배율은 증거금이 커지면 청산가가 빠르게 다가오기 때문에 증거금을 항상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내가 생각한 증거금의 수준을 넘기게 만든 (물타기에 쓰인) 돈은 잠시 지갑에서 빌려와서 평단가를 낮추는데 쓰인 돈이지,

 

절대 예상 익절가에서 이득을 불리기 위한 돈이 아닙니다.

 

욕심을 버리면 반드시 승률이 오릅니다.

 

부족한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34 6/15 경제로 보는 분석 분석가 2020.06.15 56 0
233 에효 숏을 쉽게 먹여줄리가 없지 초초보 2020.06.14 56 0
232 커뮤니케이션은 남의 말을 잘 경청할 수 있는 능력 젤로는천사 2020.06.12 56 0
231 비트 선물 어디서 하나요? 살리타이 2020.06.09 56 0
230 숏물렸다 히드라 2020.06.05 56 0
229 주봉 상승중 풀롱 file ㅇㅇ 2020.06.04 56 0
228 5일차 file 유정만세 2020.05.29 56 0
227 4일차 일지 !! 가즈아~~!! file 꿀들어간당 2020.05.28 56 0
226 4일차 인증 file 김아랑 2020.05.27 56 0
225 4일차 인증 1등 가즈아 file 콩콩 2020.05.26 56 0
224 빗썸 매매일지 인증 file 도넛 2020.05.26 56 0
223 1일차 시작했습니다 file 오색딱따구리 2020.05.25 56 0
222 2일차 존버중... 1 file 이상한찡 2020.05.25 56 1
221 4일차입니다 file 푸르른하늘 2020.05.25 56 0
220 2일차 수익인증 1 file 김아랑 2020.05.25 56 0
219 빗썸매매일지 인증 file 도넛 2020.05.24 56 0
218 드디어 4일차 수익 file 나호다 2020.05.24 56 0
217 내가 모은 것이 아니라 남에게 준 것이 남는다 젤로는천사 2020.05.20 56 0
216 고난의 시대에 태어난 것은 천재에게는 행운이다 젤로는천사 2020.05.18 56 0
215 롱뚝언제깰까 펑핑 2020.05.15 56 0
Board Pagination Prev 1 ...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 1029 Next
/ 1029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