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CTO "비트코인은 '가장 중요한 임무'에서 실패할 운명" 주장

by 마진판 posted Apr 02,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출처 조인디 / 원문기사 링크: https://joind.io/market/id/5989

image.png

 

세계 최대 암호화폐 비트코인은 시가 총액 1조 달러를 넘기며 주류 투자자와 기업들로부터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리플(Ripple) CTO 데이비드 슐츠(David Schwartz)는 이를 낙관하지 않는 것 같다고 에이앰비크립토(AMBCrypto)가 3월 3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슐츠는 테크레이더 프로(Techradar Pro)와의 최근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가장 중요한 임무에 실패할 운명"이라고 말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암호화폐는 '중개자의 개입없이 사람들끼리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실패했다'는 것이다.

 

슐츠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중심에 있는 작업증명(PoW) 합의 메커니즘 설계에서는 진정한 탈중앙화와 탈중개화가 결코 불가능했던 것 같다"는 말로 비트코인의 핵심 설계가 잘못됐다고 지적하면서 자신이 왜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혔다.

 

슐츠에 따르면 암호화폐는 사용자가 가치 저장과 교환 수단을 원하는 일방적인 시장(one-sided market)이어야 한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이를 '쌍방 시장(two-sided market)'으로 전환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인터뷰에서 그는 작업증명(PoW)으로 이러한 문제를 식별하는 것이 2011년 자신과 전 리플 임원이었던 제드 맥칼렙(Jed McCaleb)이 수행한 작업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대다수 사람들의 철학은 작업증명(PoW)이 비트코인의 비밀 소스라는 것이었지만 재단의 첫 번째 균열이 이로 인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XRPL, ergo는 동일한 핵심 기능을 수행하지만 작업증명(PoW) 또는 지분증명(PoS)의 단점이 없는 분산 합의 알고리즘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도입되었다. 합의 알고리즘은 경쟁이 아닌 협력적인 프로세스를 만들어, 암호화폐 보상이 없어도 질서정연한 거래를 형성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러나 슐츠는 “이 접근 방식의 주된 문제는 네트워크 참여자의 품질이 항상 높을 수 없다는 것이다. 암호화폐 보상이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예고없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고 신뢰도가 낮은 참가자가 풀에 들어올 수 밖에 없다”는 리플 시스템의 주요 결함도 함께 지적했다.

 

끝으로 슐츠는 암호화폐와 규제에 대해 "앞으로 몇 년 동안 암호화폐 프로젝트는 사용자에게 현지 규제를 준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면서도 규제 준수를 의무화하지는 않음으로써 탈중앙화와 탈중개화를 정착시킬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