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154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출처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3279
출처=페이 프로토콜 홈페이지
출처=페이 프로토콜 홈페이지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 페이 프로토콜(Fei Protocol)을 만든 페이 랩스(Fei Labs)가 지난 3일 제네시스 이벤트로 63만9000개의 이더리움을 모금하고도 예상하지 못한 문제로 난관에 빠졌다. 

 

페이 프로토콜은 이더(ETH)를 일종의 담보로 삼아 탈중앙성을 유지하는 콘셉트의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의 스테이블 코인 페이(FEI)는 '정해진 가격 곡선(bonding curve)'에 따라 이더로 구매할 수 있는데, 판매 초기에는 개당 가격이 1달러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차후 많은 사람이 FEI를 구매 할수록 가격 곡선에 따라 매수 가격이 상승해 종국에는 FEI 1개가 1달러 가치에 도달하게 되는 방식이다. 

 

통상 이렇게 정해진 가격 곡선에 따라 코인 판매를 할 경우에는 초기 참여자일수록 높은 시세차익을 남길 수 있다. 이번 페이 프로토콜의 제네시스 이벤트에 약 13억달러(한화 약 1조4677억원)에 달하는 이더가 모인 이유다. 

 

페이 랩스가 제네시스 이벤트에 참여한 이들에게 페이 프로토콜의 거버넌스 토큰인 트라이브(TRIBE)를 일정량 에어드롭하겠다고 밝힌 것도 열광적인 참여가 일어났던 이유 중 하나였다. 이렇게 페이는 코인 판매가 시작되자마자 암호화폐 시가총액 55위로 뛰어오른 독특한 스테이블 코인이 됐다. 거버넌스 토큰인 트리브 역시 시가총액 110위 권으로 진입했다. 

 

테더(USDT)나 유에스디씨(USDC) 같은 스테이블 코인들은 대부분 중앙화 발행기관이 있고, 해당 기관에서 발행하고자 하는 스테이블 코인 가치만큼의 자산을 은행 등 금융기관에 예치한 후 발행하는 식의 절차를 밟는다. 그러나 페이는 이런 중앙화 기관 없이 탈중앙화 방식으로 가치가 미화 1달러에 고정되어야 하는 스테이블 코인이다. 

 

이들이 정한 핵심적인 가치 안정화 방법은 '정해진 가격 곡선'과 다이렉트 인센티브(Direct Incentives)라는 자체 알고리즘이다. 페이 가격이 1달러 이하로 떨어지면 이용자들이 알아서 페이를 매수하게끔 매수 보상(mint rewards)를 지급하고, 페이 가격이 1달러 이하인데도 매도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소각 패널티를 부과하는 게 이 알고리즘의 골자다. 인센티브 지급과 패널티 부과를 통해 페이 가치를 1달러에 근접하게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페이 프로토콜 홈페이지에 가면 소각 패널티와 매수 보상 비율이 고지되어 있다. 5일 오후 5시 현재 소각 패널티는 21.665%, 매수 보상은 15.644%다. 

 

그러나 코인을 출시한지 채 하루도 되지 않아 이같은 가격 안정화 구조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제네시스 이벤트 이후 받은 페이를 엠엑스씨(MXC)나 게이트아이오(Gate.IO) 등 중앙화 거래소에서 판매하는 이용자들이 생겼기 때문이다. 

 

현재 '정해진 가격 곡선' 상에서의 페이 가격은 0.95달러다. 이 상태에서 누군가 탈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페이를 판다면 그는 21%에 달하는 소각 패널티를 물어야 한다. 그러나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페이를 팔 경우에는 소각 패널티가 전혀 적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페이를 판매하는 이용자는 중앙화 거래소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암호화폐 데이터 기업인 코인마켓캡 통계에 따르면 실제로 5일 오후 5시 현재 중앙화 거래소에서 판매되는 페이 가격은 약  0.79달러다.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페이 코인에 대한 매수-매도는 모두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이뤄지기 쉽다. 최악의 경우에는 페이 가치가 1달러라는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는 셈이다. 

 

페이 프로토콜 거버넌스에서도 이같은 문제를 논의 중이다. 가장 빠른 방법은 페이프로토콜 거버넌스에서 정해진 가격 곡선을 이용한 이더 매수를 해서 일단 페이 코인의 가격을 1달러에 도달시키는 것이다. 소각 패널티는 페이 코인의 가격이 1달러에 근접할수록 줄어든다.

 

블록체인 컨설팅 기업인 블록패치 김근영 대표는 "페이 가치가 1달러에 도달하기만 하면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될 것 같기는 한데,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신규 이용자들은 상황을 좀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3 46조원 규모 헤지펀드의 비트코인 시장 진입 검토에 대한 비트멕스 CEO 등 3인의 견해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5.11 336
332 '뒷심 부족' 비트코인, 번번이 1만달러 안착 실패…톱 애널리스트 "2018년 최고치 돌파 가능성 有"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5.18 338
331 비트코인 선물에 대한 미결제약정 2배 가까이 증가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5.18 338
330 반에크, 미 SEC에 새로운 현물 비트코인 ETF 신청 file 마진판 2022.07.01 338
329 박사방 조주빈이 믹싱기술 등 암호화폐 전문지식 갖췄다?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4.01 340
328 분석 "비트코인, 2013년 더블탑 패턴 재현 시 7만~9.9만달러까지 오를 가능성 有"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1.08 341
327 비트코인 가격 약세에도 기관 매집 지속..."주식 시장 회복되면 급등세 보일 것" file 마진판 2022.03.07 341
326 시바이누(SHIB), 스테이블코인과 새로운 리워드 토큰을 발표 file 마진판 2022.07.08 342
325 포브스 "비트코인, 올해 2017년 같은 상승장"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4.27 344
324 5월 비트코인 반감기...1만달러 도달할 수 있을까?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5.01 344
323 [고란] ICO, 투자의 민주화인 줄 알았는데... (상)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5.18 346
322 테슬라 비트코인 수익 '1조'···"전기차 판매수익 제쳤다"분석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22 346
321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첫 비트코인 이동 .. 새 지갑으로 2,089.99 BTC 이동 file 마진판 2022.06.14 346
320 13억 달러의 비트코인 고래 발견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6.12 347
319 암호화폐 단타 생중계한 BJ철구, 업비트 '거래 정지' 당해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28 347
318 크립토퀀트 데이터: 9일, 10일 대규모 BTC가 거래소로 이동 file 마진판 2022.05.10 347
317 2018년에 비트코인 매집한 고래들은 아직도 보유중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3.05 349
316 증시 하락 속 비트코인 1만달러 재도전…비타주캐피탈 파트너 "BTC 1만2천달러 반등 전망"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5.18 350
315 비트코인 탄생 13주년 .. 「비트코인의 역사 살펴보기」 file 마진판 2022.01.04 352
314 트론, 비트코인 급락장에도 강세 '시총 17위로 껑충'..."USDD 출시 후 누적 3.57억 TRX 소각" file 마진판 2022.05.09 353
Board Pagination Prev 1 ...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