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2210 추천 수 0 댓글 0

90%는 결국 파산한다-자금관리 2편

image.png

 

 

 

앞에 “90%는 결국 파산한다 - 자금관리 1편”에서 설명 한 것처럼 반마팅게일 방식의 여러 가지 자금관리전략을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마팅게일 방식 7가지 자금 관리 전략들 ^^
1. 리스크 금액 고정 자금관리
2. 자산 고정 자금관리
3. 비율 고정 자금관리
4. 매매 가능 횟수 고정 자금관리
5. 윌리엄스의 리스크 고정 자금관리
6. 리스크 비율 고정 자금관리
7. 변동성 고정 자금관리


1. 리스크금액 고정 자금관리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가능계약수 = 고정된 리스크금액/ 매매별 리스크금액
고정된 리스크 금액 =계좌자산/자산대비 매매가능횟수
매매별리스크 = 진입가격 – 손절가격 + 매매수수료

특징 및 장단점
-각각의 매매를미리 규정된, 혹은 고정된 리스크 금액으로 제한
-자산규모가 작은 투자자가 매매에 불리함
-자금관린 목적에는 상대적으로 부적합
-리스크관리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

2. 자산 고정 자금관리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가능계약수 = 계좌자산/계약당 고정된 자산 단위
고정된 자산 단위 = 최대누적손실(실제 값 혹은 예상치)

특징 및 장단점
- 고정된 자산 한 단위당 한 계약 매매
- 수용가능 손실 비율 : 고통을 참을수 있는 정도
- 계약수를 가장 빠르게 늘리는 전략 중 하나
- 기하급수적인 수익 가능
- 계좌자산이 작은 투자자도 사용 가능
- 장점 : 계좌를 빨리 키우는것이 가능
- 단점 : 리스크도 커짐( MDD )

*MDD 란 : Maximum Drawdown의 줄임말 시세가 새 고점에 도달하기 전에 그 이전 고점에서 저점까지의 최대 손실을 의미하며 지정된 기간에 걸친 하방 리스크를 측정하는 지표(indicator)입니다.
다음과 같이 백분율로써 계산됩니다.
(저점값 - 고점값) ÷ 고점값
"나는 가장 큰 최대 누적 손실은 미래에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매매는 오로지 생존과 연관된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라"

3. 비율 고정 자금관리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가능계약수 = 현재계좌자산 + (현재매매계약수X델타)
델타 = 최대누적손실 + 개시증거금

특징 및 장단점

- 고정된비율(델타)만큼의 수익시 계약수 증가
- 델타가 가장 중요변수
- 델타값이 큼 : 계약수가 천천히 늘어남(보수적)
- 델타값이 적음 : 계약수가 빨리 늘어남(공격적)
- 현재매매하고 있는 각각의 계약이 모두 델타만큼의 추가 이익을 내기전에는 절대 계약수를 늘릴수 없음
- 단점 : 누적손실이 계속된다면, 이익도 별로 없이 더 큰 위험에 노출
- 소액투자자도 적합

4. 매매가능횟수 고정 자금 관리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별 금액리스크= 초기계좌자산/고정된매매가능횟수
*매매별 금액리스크(계좌자산이 신고점갱신시 재계산) = 새로운 계좌자산/고정된매매가능횟수
매매계약수 = 금액리스크/매매별리스크
*매매별리스크 = 진입가격-손절가격+매매수수료

특징 및 장단점
- 리스크 금액 고정전략을 기초
- 수익신고점시 매매별 금액리스크를 재계산
- 매매가능횟수는 최소20이상
- 돈을 잃었을때 도 동일한 리스크 노출
- 누적손실시 파산의 위험이 존재
- 매매전략이 탄탄하고 안정적일때 적합
- 보수적투자자는 매매가능횟수를 늘림
- MDD갱신시에도 계약수를 유지함으로써 MDD를 회복할 수 있는 기법(but Risk...)

*MDD 란 : Maximum Drawdown의 줄임말 시세가 새 고점에 도달하기 전에 그 이전 고점에서 저점까지의 최대 손실을 의미하며 지정된 기간에 걸친 하방 리스크를 측정하는 지표(indicator)입니다.
다음과 같이 백분율로써 계산됩니다.
(저점값 - 고점값) ÷ 고점값

5. 윌리엄리스크 고정 자금관리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계약수 + 금액리스크/최대손실금액
금액리스크 = 계좌자산X리스크비율
*리스크비율 : 잃을 준비가 되어 있는금액
*최대손실금액 : 과거에 경험한 최대 손실금액등

특징 및 장단점
계좌자산이 커졌을 경우 재계산
소액 개인이 투자하기는 어려운 자금관리
돈을 잃을때 리스크감소 벌었을때 리스크증가
MDD를 안정적으로 관리 가능

*MDD 란 : Maximum Drawdown의 줄임말 시세가 새 고점에 도달하기 전에 그 이전 고점에서 저점까지의 최대 손실을 의미하며 지정된 기간에 걸친 하방 리스크를 측정하는 지표(indicator)입니다.
다음과 같이 백분율로써 계산됩니다.
(저점값 - 고점값) ÷ 고점값

6. 리스크 비율 고정 자금관리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계약수= (고정된리스크비율X계좌자산)/ 개별매매리스크
*고정된 리스크비율은 계좌자산중 투자자가 제한하기를 원하는 손실비율

- 특징 및 장단점
- 전문투자자들의 가장 일반적인 자금관리전략
- 계약수를 안정적으로 늘릴수 있음
-소액투자자에게는 맞지 않음
- 파산위험을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임
(예) 자산3만$,리스크2%,매매리스크500$시
=/500$ = 1.2

7. 변동성 고정 자금관리

계산식 (매매가능계약수)
매매계약수 = (고정된리스크비율X계좌자산)/시장의 변동성
*고정된 리스크비율은 계좌자산중 투자자가 제한하기를 원하는 손실비율

특징 및 장단점
- 시장의 변동성 - 특정기간동안의 시장의 움직임
- ATR지표 활용
- 시장의 변동성에 맞추어 계좌를 노출시킴
- 고변동성: 적은계약수, 안정된 변동성: 많은계약수
- 소액투자자에게는 부적합

결론
위에서 설명 드린 전략들은 계좌자산의 규모, 리스크 허용 수준, 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고려 등에 따라 투자자 본인에게 어울리는 전략을 적용해 자금 관리를 하면 되고, 대부분의 전략은 투자자가 손실을 봤을 때 투자자금(포지션)을 줄이고 수익을 봤을 때 더 많은 자금을 투자하는 전략인 점을 기억하면 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추세선 제대로 쓰는 법 file Tommy_Trader 2021.11.29 4948
215 추세밴드와 실전에서의 활용 timegoesup 2020.03.15 968
214 초보자를 위한 고전적인 차트 패턴 설명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19 7379
213 채널선(Channel Line) 분석기법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7023
212 차트의 종류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2426
211 차트만 잘본다고 매매를 잘하는게 절대 아닌 이유 1 file Tommy_Trader 2020.09.11 1871
210 진입횟수/매매시간과 누적 수익률의 관계 file Tommy_Trader 2020.08.28 1449
209 지지선과 저항선은 왜 생기는가?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1722
208 정확히 추세전환을 잡아내는 비트코인 다이버전스 대박 필승매매법 (Divergence)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3.02 1071
207 일목균형표강의① 중심값의 이해 file timegoesup 2020.03.08 1253
206 일목균형표((Ichimoku Cloud/一目均衡表)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6 3536
205 일목균형 기본강의 : 파동론 심화 PLUTUS_GD 2020.02.26 1429
204 일목균형 기본강의 : 시간론 file PLUTUS_GD 2020.02.26 1281
203 일목균형 기본강의 : 수준론 file PLUTUS_GD 2020.02.26 1428
202 일목균형 기본 강의 : 괘선 기본 및 활용 file PLUTUS_GD 2020.02.26 1277
201 이동평균선 Guru의 조언 file 마진왕 2020.02.15 952
200 이동평균선 - 3편 이평선 단점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1692
199 이동평균선 - 2편 실전적용(매매기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10754
198 이동평균선 - 1편 기본편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2704
197 이동평균선 (정배열/역배열,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0 477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