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비트코인 바닥 다졌나?…양적완화·반감기 영향, BTC 상승 전망

 


 

지난 24시간 동안 시가총액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 BTC)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사실상 '무제한 양적완화(QE)' 선언에 단기 급등 흐름을 보이며 6,800달러 선까지 치솟았다.

 

현재는 6,700달러 선을 기반으로 7,000달러 저항선을 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다수 애널리스트들은 글로벌 유동성 확대 조치와 5월 비트코인 반감기(블록 보상 감소)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4일(한국시간) 오후 10시 30분 현재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BTC)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9.35% 급등한 약 6,708달러를 기록 중이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498억 달러이며, 시가총액은 약 1,226억 달러이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1,863억 달러이며, 비트코인 시가총액 점유율은 65.9% 수준이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BTC의 애널리스트인 아유시 진달(Aayush Jindal)은 "BTC/USD 거래 쌍은 6,650달러의 저항을 해소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만약 이 가격대를 넘으면 계속 상승해 6,952달러와 7,000달러의 저항선까지 근접할 수 있다. 이마저 돌파하면 7,500달러 선까지 급상승할 수 있다"며 "반대로 비트코인이 6,650달러의 저항선을 해소하지 못하면 새로운 하락세에 직면해 6,200달러와 6,000달러 지지선까지 후퇴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다른 암호화폐 미디어 비인크립토는 아리 폴(Ari Paul) 블록타워(BlockTower) 캐피탈 최고경영자(CEO)의 트위터를 인용 "향후 몇 개월 뒤 주식시장이 바닥을 치면, 법정화폐의 헤지 자산(금, 비트코인)이 강한 상승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Until today, I was convinced we’d have to wait until at least a few months after equities bottomed for the fiat hedges (gold, BTC) to catch a strong bid in a sustained way. They’re still risk assets, but wall st is focused on inflation and depreciation 10x as much as 2009.

 

약 2달 앞둔 비트코인 반감기도 가격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S2F(스톡 투 플로우·Stock to flow ratio) 모델 창안자인 플랜비(PlanB)는 트위터를 통해 "5월 반감기 이후 비트코인이 1만 달러 이상을 유지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을 것이다. 반감기 이후 본격적인 불마켓(강세장)이 나타나며 2021년 12월에는 10만 달러 이상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암호화폐 트레이더이자 분석 전문가 크레더블 크립토(Credible Crypto)가 최근 진행한 비트코인 예상 저점을 묻는 설문 조사에서 30.9%가 이미 바닥을 다졌다고 답한 반면 36.4%는 3,700달러, 32.7%는 3,000달러까지 추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해당 설문조사에는 2,229명이 참여(복수응답 가능)했다.

 

The Bitcoin bottom is:

2,229 votes•Final results


출처 코인리더스 http://www.coinreaders.com/6945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13 비트코인,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인가 거품인가 file 마진판 2021.11.04 157
3812 올해 이더리움 채굴자 수익, 비트코인보다 높았다..."ETH는 암호화폐 경제의 중심" file 마진판 2021.11.04 131
3811 '이더리움 킬러' 아발란체(AVAX), 80달러 목전...넥소와 파트너십에 강세 file 마진판 2021.11.04 159
3810 이더리움(ETH) 얼마나 더 오를까? file 마진판 2021.11.04 184
3809 '이더리움 킬러' 솔라나, 어느새 시총 4위...SOL 랠리 이유는? file 마진판 2021.11.04 180
3808 이오스 재단 CEO "EOS는 실패작, 끔찍한 투자...재건 위해 재단이 직접 나설 것" file 마진판 2021.11.04 222
3807 [시바이누 코인 이모저모] 아마존 SHIB 결제 지원 청원, 크라켄 상장 예고 外 file 마진판 2021.11.04 248
3806 시장 분석가 "알트코인, 엄청난 랠리 준비 중"...비트코인 도미넌스 급감 file 마진판 2021.11.03 166
3805 거침없는 이더리움 랠리 어디까지?...ETH,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 되나 file 마진판 2021.11.03 134
3804 '도지파더' 일론 머스크 "도지코인 가짜 CEO 되고 싶어" file 마진판 2021.11.03 187
3803 이더리움 경쟁자들의 시총 싸움 치열...솔라나, 리플 넘어 카르다노마저 제쳤다 file 마진판 2021.11.03 170
3802 비트코인 강세 전환, 10만달러 랠리 시동?...JP모건의 비관론 "BTC 공정가치 35,000달러" file 마진판 2021.11.03 168
3801 마이애미 시장 "다음달 급여, 비트코인으로 받겠다" file 마진판 2021.11.03 146
3800 이더리움(ETH) 신고가 랠리, 5천달러 바짝...올해 1만달러 전망 현실화 되나? file 마진판 2021.11.03 158
3799 비탈릭이 말하는 ‘크립토 시티’ 구상이란 : 시티 토큰이나 DAO 활용 등 제안 file 마진판 2021.11.02 136
3798 퀀텀(QTUM) 리브랜딩, 다음주 새로운 로고 변경 file 마진판 2021.11.02 180
3797 아르헨티나 규제 기관, 비트코인 선물 승인 검토 file 마진판 2021.11.02 126
3796 크라켄, 주식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file 마진판 2021.11.02 127
3795 시바이누(SHIB), 크라켄 거래소 2일 상장 예정 file 마진판 2021.11.02 181
3794 이더리움 지나치게 저평가됐다?...골드만삭스 임원 "ETH, 연말까지 두배 오를 것" file 마진판 2021.11.02 167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D
특정지갑에서 OKEx로 입금
24-06-03 06:18 $1,002,177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3 06:14 $1,001,969
W
Binance에서 Bitfinex로 출금
24-06-03 06:11 $7,583,249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3 06:10 $2,905,211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3 06:10 $1,020,903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3 06:10 $40,855,524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3 06:10 $40,855,668
W
Binance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3 06:08 $1,221,940
W
Binance에서 Bitfinex로 출금
24-06-03 06:00 $12,931,362
W
OKEx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3 05:51 $6,215,673
W
Bybit에서 Kraken로 출금
24-06-03 05:49 $4,281,083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03 05:49 $6,444,789
D
특정지갑에서 OKEx로 입금
24-06-03 05:48 $3,992,060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3 05:44 $2,013,810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03 05:44 $1,985,484
W
Bitfinex에서 Tether Treasury로 출금
24-06-03 05:41 $39,923,824
W
Coinbase에서 Binance로 출금
24-06-03 05:41 $2,183,744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