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출처 https://coincode.kr/archives/52649

image.png

 

 

1일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코인포스트가 보도했다. 비트코인은 전일대비 +7.51%인 37,083 달러로 반등했다.

TradingView BTC / USD 일봉

비트코인은 범위 내에서 추이하면서 수렴을 형성하고 있어, 상하 어느 쪽으로 빠지게 될지가 주목된다.

주식과 마찬가지로 「금융 버블 붕괴론」도 대두하는 가운데, 금년의 강세 트랜드를 지지한 상한가 저항선(①)과 연초래저항선(②)의 사이에 흔들리는 암호화폐 시장이다. 강세력과 약세권의 기대가 교차하기 쉬운 가격대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한편, 높은 수급 면에서는 3년 전의 암호화폐 거품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호전되어 있어 단순 비교는 할 수 없다. 작년 5월의 「반감기」를 거쳐 희소가치가 대폭 상승한 것 외 2020년 이후의 DeFi(탈중앙화금융) 시장의 성장이나 기관투자가의 참가에 의해서, 시장구조는 격변하고 있다.

[개별 종목의 동향]

비트코인의 반발에 따라 CMC(코인마켓캡)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이 전일 대비 +16% 급등. DeFi 종목도 높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CMC 시가총액 10위인 UNI가 전일 대비 17.33%인 28 달러까지 반등했고, CMC 시가총액 40위인 팬케이크스왑(CAKE)이 전일 대비 +18.70%인 17.91 달러, CMC 시가총액 26위인 에이브(AAVE)가 전일 대비 +24.14%인 385.15 달러로 나타났다. 연초보다 DeFi 시장의 혜택을 받으며 약진한 바이낸스코인(BNB)도 전일대비 +12.98%인 352.16 달러까지 올랐다. 한편, 팬케이크스왑은 금일 5,977,104 CAKE(약 1억 달러 규모)의 소각이 완료됐으며, 930만 달러 규모의 CAKE 바이백을 했다.

주요 종목에서는 시가총액 6위인 리플(XRP)이 전일대비 +17.3%로 1달러 수준을 다시 회복했다. XRP의 증권 문제를 둘러싸고, SEC(미 증권거래위원회)와 분쟁중의 재판에서, 리플사에 긍정적인 판단이 내려진 것이 재료시된 것으로 보인다. (판사가 SEC의 리플 법률 자문 자료에 대한 열람 거부)

[장기 보유자의 축적 행동도]

5월 31일에 게재된 글래스노드의 주차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시장환경에서 일부 비트코인 장기보유자(5개월 이상)의 손익분기점을 밑돌기 시작했다.

위 그림에서 파랑 존이 장기 보유자, 빨강 존이 단기 보유자로서 그룹핑 되고 있다.

‘짙은 파란색’은 2021년에 앞서 구매·보유한 투자자가 평가이익 상태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시장에 공급된 전체 비트코인 중 69%를 차지하는 대규모 투자자가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연한 파랑」은 BTC 공급의 0.5% 정도의 볼륨으로, 1월 초순에 걸쳐 구입한 층에 해당하나 잠재손해로 전락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시장 공급량의 4.5%를 차지하는 단기 보유자의 분류에서는, 이익을 올리는 「짙은 빨강」의 그룹은 트렌드 전환의 영향으로 큰폭으로 침체, 「엷은 빨강」은 26%가 평가 손실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냈다.

비트코인의 수익률을 나타내는 온체인 지표 ‘Spent Output Profit Ratio(소비 지출 수익률)’를 확인하면, 현재의 시장구조는 2020년 3월의 코로나 쇼크를 넘어서는 수준의 손실액도 눈에 띈다.

채굴자(마이너)나 장기 보유자가 급락시의 하락매입에 움직이는 한편, 손실을 견디지 못한 단기 보유자의 「항복」을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이 지표는 BTC 매각 때 가격을 구입 가격으로 나눠 산출하는 것으로 1.0을 넘으면 투자자의 ‘이익 확정’을, 1.0을 밑돌면 투자자가 ‘손절’했다는 의미다.

또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 Block)」의 통계 데이터에 의하면, 이더리움 2.0의 스테이킹 컨트랙트에 맡겨진 누적액이 500만 ETH를 돌파했다.

6월 1 일시점으로, 136억 달러에 상당하는 520만 ETH가 보증금 되고 있지만, 주목할 것은 시장이 4월 중순에 천장을 쳐 하락 트랜드 전환한 후가 오히려 유입 페이스가 가속하고 있는 점일 것이다.

입금 컨트랙트란, ETH 2.0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비콘체인상에서 스테이킹을 행하기 위한 컨트랙트 기능이다. ’32 ETH’를 맡기고 발리데이터 노드를 운용함으로써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해 인컴게인(배당 및 이자수입)을 목적으로 한 장기 보유 인센티브가 작용하기 쉽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33 "2015~2016년에 비트코인을 사들인 4가지 이유" 플랜B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7.09 376
5332 "2021년 ETH가 BTC 보다 수익률 높을 7가지 이유"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1.01 123
5331 "2021년, 기관투자자 BTC 포모 정서 생긴다"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1.01 101
5330 "2021년, 비트코인 ETF 출시의 해로 기억될 것"..월가의 톰 리 "BTC 10만달러 넘는다" file 마진판 2021.10.19 174
5329 "4만달러↑ or 3만달러↓" 기로에 선 비트코인…"단기 급락 대비해야" 경고음 커져 file 마진판 2021.06.29 160
5328 "6월 비트코인, 플러스 실적 거둘까"…BTC 9,700달러선 회복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6.02 84
5327 "BTC 건강한 조정".. 강세장에서 몇 차례 조정은 불가피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1.13 117
5326 "BTC 올해 수익율 70%, 주요 자산 클래스 중 1위" file 마진판 2021.03.09 112
5325 "BTC, 투기꾼 위한 장난감" 美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02 142
5324 "BTC가격 폭락은 6개월 미만 보유자들의 매도 때문"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3.20 832
5323 "CME BTC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 세계 최대.. $11.6억"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1.28 101
5322 "G7의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경쟁, 우주 경쟁 같을 것" file 마진판 2022.01.17 129
5321 "NFT 주간 거래량, 최초로 3억달러 넘겨" file 마진판 2021.08.03 112
5320 "가격 조정은 비트코인 DNA이며 역사의 일부"…월가의 톰 리 "BTC 10만 달러 간다"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25 107
5319 "가상자산 과세, 군사작전 하듯 밀어붙여서 될 일 아냐" file 마진판 2021.10.27 132
5318 "가상자산 과세, 주식처럼 양도소득세 방식 타당"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6.12 159
5317 "가상자산, 장기 투자상품으로 가장 매력적"…주식-부동산 제쳐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8.20 223
5316 "가상자산은 폰지사기"…보험연구원, 코인경제 산학세미나 file 마진판 2022.06.03 422
5315 "가상화폐 그거 사기 아니냐? 언제까지 할래?"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0.06 366
5314 "기관들 비트코인 장기 전망 중시, 가격 변동에 안 흔들려"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0.01 8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