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xtra Form
출처 https://coincode.kr/archives/53280

image.png

 

 

 

중국의 대형 비트코인 마이닝풀 ViaBTC의 CEO이자 암호화폐 거래소 CoinEx의 창업자인 양하이포는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이를 코인포스트가 11일 보도했다.

ViaBTC는 비트코인 채굴 해시레이트의 11.42%를 차지하고 있어 마이닝풀 랭킹 4위에 위치하는 대형 마이닝풀이다.

그는 이번에 중국의 암호화폐 블로그인 연포수(鏈捕手) 인터뷰에서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및 전체 시세, DeFi(탈중앙화금융) 분야 등의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전체의 시세]

그는 5월 19일 대폭락 이후 암호화폐 시장의 상황에 대해 “지금은 상승장의 전반부로 천천히 회복 중이다”라며 “특히 해외에서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신규 사용자 수 및 자금 운용 규모도 얼마 줄어들지 않았기 때문에 상승세가 이미 끝났다는 등의 시각이 시기상조다”라고 말했다.

또한 일론 머스크의 비트코인·도지코인에 대한 SNS상의 발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했다.

“머스크는 이번 상승장에서 가장 물의를 빚고 있는 인물로, 그의 창업가 경력을 볼 때 이상주의자인 것은 분명하다. 또한 그는 감각이 예민한 사람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있어서 그의 세계적 영향력은 보급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암호화폐의 가치는 시장 참여자들의 공감대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밈코인(도지코인이나 시바이누 등)에 대한 열광은 머스크와 무관하다고 생각한다. 초기 비트코이너들이 다른 종목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듯이 마스크에 대해서도 편견을 갖고 있을 것이다.”

[이더리움의 장래]

이더리움의 생태계 확대, ETH 2.0으로의 진척이나 연초부터의 상승률로 보아 이더리움의 커뮤니티나 투자 기업에서는 머지않아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을 넘을 것이라는 예측도 일각에서는 볼 수 있다.

양하이포는 BTC·ETH의 경쟁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다.

“장기적으로 보면 ETH가 BTC를 넘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양측 커뮤니티의 위상이나 활발도 등은 전혀 다르다. 비트코인의 가치는 신앙적인 것에서 나왔으며, 현재는 이미 하나의 종교가 됐다. 실제 용도는 별로 없지만 투기 관점에서는 많은 이익을 초기 이용자에게 가져다 줬다.

도지코인도 종교가 돼 가고 있지만, 비트코인보다 커뮤니티가 적극적이다.

반면, 이더리움의 가치는 실용성에서 나온 것이다. 비트코인도 이전에는 이더리움처럼 확장성(scalability) 등을 구현하는 선택지는 있었지만, 그렇게는 진행되지 않았다. 만일 구현되었다면 벌써 세계 최대의 결제 수단이 되어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더리움에서는 L2(레이어 2), ETH 2.0 등 다양한 솔루션 도입이 보다 오픈되어 있다. 다소 비틀거리기는 하지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BSC 생태계에 대하여]

이더리움의 송금 속도나 가스 수수료 문제로 라이벌이 되어 있는 BSC(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의 생태계 시스템에 대해서 양하이포는 BSC가 이더리움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BSC는 이미 이용 가치가 있어, 활성 사용자 수나 거래 총액도 비트코인을 넘고 있다. 앞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어 더 많은 사용자가 옮겨간다면 이더리움의 시장점유율을 어느 정도 빼앗을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BSC에서 다발하고 있는 자금 유출의 사건에 대해서는 “자금이 도둑맞은 것이 아니고, 해커가 코드의 규칙을 합리적으로 이용하고 있었을 뿐이다. 또는, 그 해커가 프로젝트 측의 사람일지도 모른다”라고 지적, “현재 BSC의 최대의 문제는 미숙한 개발자에게 있다. 그들은 TVL(자산운용 금액)을 올리는 것밖에 생각하지 않아 보안을 소홀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DeFi 시장에 대해서]

게다가 DeFi 시장의 진화에 대해서, 양씨는 자신의 견해를 말했다.

DeFi 분야는 작년 여름부터 큰폭으로 유저 베이스를 확대시켰다. 유니스왑이나 컴파운드, 커브 등의 주요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자산운용 금액도 큰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CEX(중앙집권적 거래소)의 라이벌로 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DeFi 상의 파생상품 거래는 다음의 DeFi 「프론티어」라고 불리고 있지만, 양하이포는 다음과 같이 DeFi 파생상품에 회의적인 자세를 나타낸다.

“DEX의 특징은 CEX에 쉽게 상장할 수 없는 종목이라도 허가없이 상장할 수 있다는 것으로 ‘롱테일 자산(상장 기회가 적은 희귀 자산)’의 현물거래를 하는 장이다.

그러나, 파생상품 거래에서는 기본 거래량이 높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의 상위 종목에 수요는 많이 있지만, 롱테일 자산은 현물의 거래량이 적고, DEX상의 거래 속도도 늦기 때문에 DeFi 파생상품으로 거래되는 메리트는 적다고 생각한다.”

또한, DeFi는 현재 버블 경기가 되고 있는 단계에 있다고 지적하면서도, 그 이용 가치가 높고, DEX 그리고 대출 시장의 이용율은 높아지고 있어 CEX가 벌써 우세를 잃고 있다고 했다.

한편, NFT 열풍에 대해서는 가장 큰 문제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NFT 소유권을 증명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중앙집권적인 조직에 있다고 설명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13 JP모건 "비트코인·대형 기술주에서 돈 빼라"..."대부분 암호화폐 결국 사라질 것" file 마진판 2022.08.30 151
4712 JP모건 "비트코인은 안전자산 아닌 순환자산"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1.22 162
4711 JP모건 "암호화폐 상승세 제한적일 것" 경고 file 마진판 2022.04.04 159
4710 JP모건 CEO "비트코인 규제, 새로운 심각한 문제" file 마진판 2021.04.08 84
4709 JP모건 CEO “비트코인, 가치 없다” file 마진판 2021.10.12 159
4708 JP모건 CEO “비트코인은 내재가치가 없다” file 마진판 2021.10.05 143
4707 JP모건 COO “고객 요구가 있다면, 비트코인 거래 제공 검토”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2.13 103
4706 JP모건 “1분기 기관과 개인의 비트코인 흐름 균형 이뤄” 마진판 2021.03.16 149
4705 JP모건 “비트코인 ETF가 비트코인 선물 가격 정상화의 열쇠” 마진판 2021.04.13 121
4704 JP모건 보고서, 최근 55,000 달러 돌파한 3가지 이유 file 마진판 2021.10.08 221
4703 JP모건 분석가, 비트코인 추가 하락 가능성 제시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2.01 155
4702 JP모건 분석가, 하락장의 끝을 알 수 있는 지표로 비트코인 도미넌스를 주목 file 마진판 2021.06.30 191
4701 JP모건 애널리스트 “비트코인, 금 시장 점유율의 상당 부분 차지해 갈 것”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12.10 119
4700 JP모건 전략가 "비트코인 가격 폭락 끝나지 않았다…BTC 3만달러 하회할 수도" file 마진판 2021.06.02 116
4699 JP모건 전략가 “비트코인, 4만 달러를 다시 넘을 수 있을지가 관건”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1.01.19 108
4698 JP모건 전략가 “비트코인에 대한 기관의 관심이 고갈” file 마진판 2021.06.30 144
4697 JP모건, '이더리움이 비트코인보다 나은 3가지 이유' 제시 file 마진판 2021.04.30 122
4696 JP모건, 개인 고객에 비트코인 관련 교육자료 배포 file 마진판 2021.03.06 88
4695 JP모건, 메타버스 디센트럴랜드(MANA)에 라운지 개설 file 마진판 2022.02.16 177
4694 JP모건, 모든 자산 고객을 위한 비트코인·비트코인캐시· 이더리움 등 펀드 이용 개시 file 마진판 2021.07.23 164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67 Next
/ 267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