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암호화폐 거래량 258조원, 전월비 3분의 1토막…수수료 수입도 급감

by 마진판 posted Jul 02,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출처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184291

6월 암호화폐 거래량 258조원, 전월비 3분의 1토막…수수료 수입도 급감

[블록미디어 강주현 기자] 국내 암호화폐 거래량이 지난달 258조 원으로 급감했다. 5월 789조 원에서 3분의 1 토막이 났다. 5개 거래소의 최소 거래수수료 수입도 5월 4353억 원에서 6월 1432억 원으로 줄었다.

 

 

블록미디어는 지난 5월 28일부터 6월 28일까지 빗썸, 업비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국내 5대 거래소 거래량을 집계해 분석했다. 각 거래량은 오후 3시 코인마켓캡 자료를 기준으로 측정했다.

 

◆ 전반적인 시장 침체…업비트 거래 쏠림은 여전

 

6월 거래량 급감은 비트코인 가격의 급락 등 디지털 자산시장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했다. 업비트는 200조 원 가까운 거래량을 기록했지만, 올 2월 수준으로 크게 후퇴했다.

빗썸 거래량은 44조 원으로 올들어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지난달 업비트 거래량은 196조 원이다. 업비트의 직전 4개월 거래량은 112조 원(1.16~2.16), 211조 원(2.20~3.20), 513조 원(3.26~4.26), 648조 원(4.27~5.27)이었다. 직전월에 비해 업비트 거래량은 약 452조 원 줄었다.

빗썸 거래량은 44조 원으로 나타났다. 직전 4개월 거래량은 64조 원(1.16~2.16), 102조 원(2.20~3.20), 101조 원(3.26~4.26), 92조 원(04.27~05.27)이었다. 빗썸 거래량은 직전월에 비해 48조 원 감소했다.

코인원은 세 번째로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6월 거래량은 14조 원이다. 직전 4개월 코인원 거래량은 13조 원(1.16~2.16), 22조 원(2.20~3.20), 39조 원(3.26~4.26), 40조원(4.27~5.27)이었다. 직전월에 비해 거래량은 26조 원 줄었다.

네 번째로 많은 거래량을 기록한 거래소는 고팍스이다. 고팍스 6월 거래량은 1조9000억 원이다. 직전 4개월 간 거래량은 1조8000억 원(1.16~2.16), 1조9000억 원(2.20~3.20), 3조1000억 원(3.26~4.26), 3조 5000억 원(4.27~5.27)이었다. 고팍스 거래량은 직전월에 비해 1조 6000억원 가량 감소했다.

코빗은 가장 적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지난 달 거래량은 1조 3000억 원이다. 직전 4개월간 거래량은 1조4000억 원(1.16~2.16), 1조3000억 원(2.20~3.20), 3조6000억 원(3.26~4.26),  4조766억 원(4.27~5.27)이었다. 직전월에 비해 거래량이 2조 7766억 원 줄었다.

 

5개 거래소의 총 거래량 중 업비트의 거래량이 78%에 달해, 거래량 쏠림 현상은 여전했다.

▲ 1월부터 6월까지 5대 거래소 수수료 수입(자료=블록미디어, 코인마켓캡)

 

◆ 업비트 거래 수수료 1000억원대 무너져 

블록미디어는 자체 집계한 5대 거래소의 월간 거래량을 바탕으로 각 거래소 수수료 정책에 따라 최소 거래 수수료 수입을 계산했다. 입출금 수수료는 제외했다.

업비트는 여전히 가장 높은 거래수수료를 기록했지만, 시장이 조정되면서 최소 예상 수입도 크게 줄었다. 업비트는 원화마켓, BTC 마켓, USDT마켓별로 각각 수수료를 0.05%, 0.25% 비율로 매기고 있다. 업비트 거래량은 90% 이상이 원화마켓에서 발생해 원화마켓 수수료 비율을 적용해 계산했다.

6월 업비트 최소 월 거래 수수료 수입은 961억 원이다. 직전 4개월 간 업비트 거래 수수료는 각각 562억 원(01.16~02.16), 1057억 원(02.20~03.20), 2567억 원(03.26~04.26), 3243억 원(04.27~05.27)이었다. 직전월 대비 2282억 원이 증발했다.

 

코인원은 두 번째로 많은 거래 수수료 수입을 기록했다. 코인원은 메인 마켓과 그로스 마켓에 각각 0.2%, 0.1%의 수수료를 적용한다. 따라서 두 마켓간의 평균값인 0.15%를 적용해 수수료 수입을 계산했다.

그 결과 코인원이 얻은 월 거래 수수료 수입은 215억 원으로 나타났다. 직전 4개월 간 코인원 예상 수입은 각각 198억 원(01.16~02.16), 224억 원(02.20~03.20), 586억 원(03.26~04.26), 606억원(04.27~05.27)이었다. 직전월 대비 391억 원이 줄었다.

빗썸은 월 최소 거래 수수료 수입에서 3위를 차지했다. 빗썸은 수수료 정액 쿠폰을 사용할 시 수수료를 0.04% 비율로 책정한다. 해당 비율을 적용한 결과, 6월 빗썸 최소 월 거래 수수료 수입은 176억 원이다.

직전 4개월 동안 빗썸 거래 수수료는 각각 256억 원(01.16~02.16), 408억 원(02.20~03.20), 406억 원(03.26~04.26), 370억원(04.27~05.27)이었다. 직전월 대비 194억 원이 감소했다.

단, 최소 수수료 비율(정액 쿠폰)을 적용하지 않은 기존 수수료 비율 0.25%를 적용하면 지난달 빗썸의 최소 거래 수수료는 1101억 원이다. 기존 수수료를 적용하면 빗썸의 최소 월 거래 수수료 수입은 업비트를 능가한다.

 

네 번째로 많은 거래 수수료 수입을 얻은 거래소는 고팍스이다. 고팍스의 일반 투자자 수수료 비율은 0.2%, 트레이더는 거래 금액에 따라 수수료 비율이 0~0.3%이다. 이중 일반 수수료 비율을 적용해 계산했다.

6월 고팍스 거래 수수료 수입은 39억 원으로 나타났다. 직전 4개월 간 고팍스 거래 수수료는 각각 36억 원(01.16~02.16), 38억 원(02.20~03.20), 63억 원(03.26~04.26), 70억 원(04.27~05.27)이었다. 직전월보다 약 31억 원 감소했다.

가장 적은 거래 수수료 수입을 얻은 거래소는 코빗이다. 코빗은 모든 마켓에 일괄적으로 0.15%의 수수료 비율을 적용한다. 해당 비율로 계산한 결과, 코빗의 최소 월 거래 수수료 수입은 19억 원이다. 직전 4개월 간 코빗 거래 수수료는 각각 21억 원(01.16~02.16), 20억 원(02.20~03.20), 54억 원(03.26~04.26), 61억원(04.27~05.27)이었다. 직전월보다 약 42억 원 줄었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