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조회 수 2579 추천 수 0 댓글 1

image.png

 

#엘파강의 #Truncation #TruncatedWave #절단 #단절 #파동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다들 성투는 하고 계시는지요? 어느새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다들 코로나 환절기에 건강관리 잘 하시고요. 오늘은 오랜만에 엘리엇 파동 이론 강의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이번에 살펴볼 파생 구조는 Truncated Wave, 절단(단절) 파동입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보편적인 엘리엇 파동 구조는 충격 (상승)파동 중 5파의 끝점이 가장 고점이고, 조정 (하락)파동 중 C파의 끝점이 가장 저점이라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예외가 존재합니다. 충격/조정 파동 구조 내 마지막 세부 파동이 간혹 짧게 나올 때가 있으며, 이 짧은 파동을 Truncated wave 혹은 절단 파동이라고 합니다.

Truncation은 기존의 엘리엇 법칙들을 다 충족시키되 한 단위의 충격/조정 파동 구조의 마지막 세부 파동이 Wave Failure하는, 즉 전 고/저점을 갱신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위 그림처럼 하나의 충격/조정 파동 구조의 세부 5파/C파가 세부 3파/A파를 넘기지 못할 때 5파/C파는 절단 파동이 됩니다. 5파 혹은 C파의 세부 파동을 5-3-5-3-5로 카운팅했지만 큰 단위에서의 파동이 스윙(Swing High/Low)을 실패하고 강한 Trend Reversal이 나올 때, 즉 반대 방향으로 큰 추세가 나올 때 1차적으로 Truncated wave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한가지 명심해야 할 부분이 Truncation으로 고려할 5파/C파의 세부 파동이 5-3-5-3-5 지그재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야 된다는 점입니다. 이건 꼭 Truncated wave가 아니더라도 통상적인 파동 구조에도 해당됩니다. 아래 그림의 첫번째 충격 파동 구조는 절단 5파 출현을 의심해볼 수 있는 반면 두번째 파동 구조에서의 마지막 상승 파동은 절단 5파가 될 수 없겠죠. 이럴 땐 다른 시나리오 및 파동 카운팅에 더 유력성을 부여하는 쪽이 좋습니다.

snapshot


두번째로 Truncated Wave에 가중을 둘 수 있는 상황은 앞서 말한 5-3-5-3-5 지그재그 구조를 형성한 뒤 추세가 변곡 되어 해당 파동의 시작점을 이탈할 때입니다. 즉 절단으로 의심중인 5파/C파가 4파/B파의 끝점(빨간색 점선)을 깰 때, 즉 LL(Lower Low) 혹은 HH(Higher High)가 확정될 때 우리는 Truncation 출현 여지를 더 둘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구간을 POR(Point of Recognition)이라고 합니다.

추가적인 엘리엇 이론 절단 파동의 성향 및 세부 법칙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통 4파/B파가 비교적 길게(깊게) 나올 때 Truncation 출현을 의심해볼 수 있음

snapshot


2. 1파/5파와 다르게 3파의 세부 5파는 Truncation이 될 수 없음

snapshot


3. 4파/B파의 61.8% 이상은 되돌림을 줘야 Truncation으로 고려할 수 있음

snapshot


4. 5파가 Truncated일때 혹은 5파의 세부 충격 파동 중 Truncation이 존재할 경우, 3파와 4파의 세부 파동 중 Truncation이 존재할 수 없음

snapshot


아래는 Truncated Wave의 과거 예시들입니다.

snapshot

snapshot

snapshot


그러면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그리고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나를 찾을 수 있습니다:

Youtube

Website

Youtube 토미의 전업투자TV: https://bit.ly/Tommy_TV
브리핑 채널: https://bit.ly/Tommy_Main
카카오톡: https://bit.ly/Tommy_kakao (PW:1324)
무료 VIP문의: https://t.me/zen_tb
교육 문의 : https://t.me/Mobius_Trading
실시간 김프 확인하기: https://kimpga.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썸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KF] 당신이 지금까지 돈을 잃은 이유 : 전략의 부제 file KelleyFinance 2020.04.18 1279
175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3편 - 펀딩비(심화) 고슴도치 2020.03.25 1279
174 #08 ABCD pattern (AB=CD)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7 1285
173 고슴도치의 비트코인 마진 거래 13편 : - 가격지정주문(GTC)란? 1 고슴도치 2020.04.18 1300
172 마진 시장의 거래량의 대한 해석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5 1330
171 일목균형 기본 강의 : 괘선 기본 및 활용 file PLUTUS_GD 2020.02.26 1330
170 고슴도치의 비트코인 마진거래 15편 - 비트코인 마진거래의 장점과 리스크 ! 고슴도치 2020.04.19 1333
169 [비트맥스 30분봉 차트 단타 공략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1 1364
168 비트맥스에서 수면매매로 프로그램 매매처럼 익절하는 방법!!!(비트코인 하는 방법)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3.07 1364
167 추세선의 기초 timegoesup 2020.03.15 1373
166 하락추세선의 분석 timegoesup 2020.03.15 1373
165 일목균형 기본강의 : 시간론 file PLUTUS_GD 2020.02.26 1381
164 고슴도치의 마진거래 기초강의 1편 - 펀딩비 5 file 고슴도치 2020.03.22 1383
163 [기초교육강의] 수평밴드와 추세밴드를 활용한 실전매매 file timegoesup 2020.03.08 1386
162 #09 피보나치 툴 활용법(Fibonacci tools)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27 1418
161 OBV지수 - 기본편 2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2.15 1419
160 기술적 분석은 유용한가? 암호화폐 트레이더 7인에게 듣다 1 file 마진판 리서치센터 2020.03.08 1426
159 공격적인 추세반전 트레이딩 file 이상한 마진 트레이더 2020.03.21 1434
158 일목균형표강의① 중심값의 이해 file timegoesup 2020.03.08 1436
157 고슴도치의 블록체인 핫이슈 2 - 비트코인 반감기란 무엇일까 ? 고슴도치 2020.05.02 14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실시간 고래 입출금
Last Update :

W
Kraken에서 특정지갑로 출금
24-06-23 06:03 $2,717,877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3 06:03 $2,717,878
W
Bitfinex에서 Binance로 출금
24-06-23 05:54 $1,408,423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23 05:46 $2,003,273
D
특정지갑에서 Kraken로 입금
24-06-23 05:36 $2,702,174
D
특정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24-06-23 05:30 $1,562,734

실시간 속보

CLOSE
XE Login